글 : 현창호 climbk2@hitel.net
|
||||||||||||||||||||||
<목 차> 0. Nessus란 무엇?
0.Nessus란 무엇? Nessus는 satan 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네트워크의 취약점을 파악해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책도 제시해 주는 현재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linux계의 또다른 보안 프로젝트이다. 한마디로 nessus 을 표현한다면 Nessus > Satan 이라 말할 수 있다. Satan과 비교해보았을 때,nessus는 바로 지금 진행 중인 최신 해킹기법을 사용해서 자신의 시스템을 검사한다는 점이 다르다. Nessus는 하루에도 새로운 해킹기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크립트가 새로 보강되는 살아 숨쉬는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테스트 환경 · 알짜 리눅스 6.0(커널 2.2.17),메모리 32M,스왑
64M
1. 설치순서 1.gtk 프로그램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1) gtk프로그램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Nessus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gtk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설치확인
반드시 gtk+-devel* 과 XFree86-devel은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여러분의 리눅스 씨디에 모두 있으므로 설치하면 된다. gtk 버전은 1.2이상이어야 한다.
2) Nmap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Nmap 설치
제대로 설치되면 설치 디렉토리와 /usr/local/bin에
실행파일 nmap등이 생겨난다. 자신의 시스템에 대해 빠른 포트스캔으로
nmap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사한다.
3) Nessus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Nessus프로그램을 다운 받을 때 아래 4개의 파일들을
모두 다운 받아야 한다.
wget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일반 ftp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받기 바란다.
2. Nessus 설치순서를 반드시 지키자. 1.nessus-libraries
1) nessus-libraries 설치
/usr/local/bin이 자신의 실행경로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etc/ld.so.conf에 /usr/local/lib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
포함 안되어있으면
로 포함시킨 후
해준다.이렇게 함으로써 shared library에 /usr/local/lib을 포함시켜 주게 된다. 위 방법말고 자시의 에디터로 /etc/ld.so.conf파일에 /usr/local/lib을 넣어준 후 ldconfig -v 해주어도 무방하다.
2) libnasl설치
3) Nessus-core 설치
4) Nessus-plugin 설치
모든 Nessus프로그램 설치가 다음 디렉토리에 완료되었다. /usr/local/bin/ <-nessus 실행파일 디렉토리
2. Nessus실행(아래 순서대로 실행해준다.) 1) Nessus 실행
이 부분에서 에러 발생시 /etc/ld.so.conf에
/usr/local/lib이 포함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ldconfig
명령을 다시한번 해준다.그리고 다시
2) 사용자 등록
3) Nessus 데몬 실행
4) Nessus실행
5) Nessus가 실행된다.실행되면
새로운 암호를 넣으라고 할텐데 윗 부분의 사용자 등록시 넣어준
6) login칸에 좀 전에
넣어준 사용자 이름을 넣어준 후 Log in해주면 된다.
login되면 반드시 Plugins부분의 Denial of Service을 Off시켜준다. Prefs 란 에서 알맞은 값을 선택해준다.기본적으로 선택된 옵션만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Scan Optons 란에서 port range의 기본 값인 1-15000은 포트 15000까지 검색하게 해준다.이 값을 port최대 값인 65535값으로 바꾸어주면 호스트의 모든 포트에 대해 검사할 수 있다.하지만 검색시간이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Port Scanner에서 자신이 원하는 방법을 선택해서 체크해주면 된다.역시 기본 값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Target Selection 란에 localhost 나 아니면
여러분이 스캔을 시도하는 호스트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여러 개의
호스트을 동시에 스캔을 시도할 시는 ','로 구분해서 같이 넣어주면
된다.물론 ip주소로도 가능하다.
Start the Scan 을 클릭하면 스캔을 시작한다. 스캔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호스트의 취약점을 보여주는 새로운 창(Nessus Report)이 생성된다. 스캔을 멈추고 싶을 때는 언제든지 Stop the whole test을 클릭하면 된다. 검색완료후 저장시(save as..) 옆에 보면 저장방법에서 save as HTML with pie and graph로 하면 아주 컬러풀하고 멋진 검색결과화면을 볼 수 있다.<save as...>을 클릭해서 원하는 디렉토리에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시킨 다음 웹브라우저로 출력해보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4. Nessus 사용 예
5. tip 및 주의 사항 * 자신의 localhost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컴퓨터에 nessus을 이용해서 스캔을 시도시 tail
-f /var/log/messages을 해서 보면 syslogd가 실시간으로 출력해내는
로그메시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