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http://ils.linuxlab.co.kr/netmeeting.htm 에 원문이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실시간 화상회의(음성+화상+데이타) 국제표준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에서 제정한 H.323 표준입니다. 넷미팅은 MS사의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H.323 호환 화상회의 프로그램입니다. 윈95부터 윈2000 까지 모든 윈도우에 넷미팅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넷미팅을 사용하면 전세계의 모든 윈도우 사용자들과 1:1 화상 통신이 가능합니다.
넷미팅은 인터넷을 이용하므로 전화비가 들지 않습니다. 피시에 사운드카드, 마이크와 스피커(또는 헤드셋)만 있으면 넷미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는 없어도 됩니다. (마이크는 카메라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운드카드가 없는 경우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NetMeeting을 사용하면 상대를 보면서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파일 전송 및 키보드 대화도 가능합니다. 윈도우 NetMeeting에는 통화자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칠판 기능 (화이트보드 : White Board)과 상대 피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프로그램 공유)도 들어 있습니다.
외국에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통화시, 기업에서 해외 지사와의 화상 회의용, 상품/프로그램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리눅스용 H.323 프로그램은 OpenH323 이라 불립니다.
H.323 호환 화상회의 프로그램 목록입니다.
H.323 표준에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려면 이 사이트를 방문해 보십시오.
H.323 화상회의 프로그램 끼리는 운영체제가 달라도 연결이 됩니다.
우측은 netmeeting 으로 화상 통신 때의 화면입니다.(윈도우용 V3.01)
*. 국내의 일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화상채팅은 H.323 표준을 사용하지 않으며 넷미팅과는 화상/음성 송수신 방식이 같지 않습니다. (넷미팅은 화상회의 프로그램입니다. 화상채팅과 화상회의는 개념이 다릅니다.) 따라서 그 웹사이트 접속자끼리만 통화가 가능하고 넷미팅과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 넷미팅은 ILS 서버를 통해 연결하더라도 화상, 음성, 키보드 등 모든 데이타는 두 PC 간에 직접 전송되므로(P2P 방식) 통화 당사자 외의 제 3자는 통화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ILS 서버는 상대의 IP를 알려주는 역할만 합니다.)
그러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화상 채팅은 화상 및 음성 데이타가 일단 웹사이트의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가 다시 이것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므로 데이타 전송에 지연이 많이 발생하고, 해당 서버가 다운되면 화상채팅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모든 데이타가 서버를 통해 전달되므로 서버에서는 모든 접속자의 데이타(화상,음성, 키보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데이타 보안이 안됩니다. H.323(넷미팅) 외의 다른 화상채팅은 보안 기능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ILS 서버(디렉터리서버) 란 넷미팅에서 통화를 할 상대방의 IP 주소를 찾아주는 컴퓨터입니다. 114 전화번호부 안내와 비슷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 ILS = Internet Locator Service
NetMeeting 프로그램에서는 상대의 주소(IP Address)를 알면 직접 호출이 가능하나, ADSL 이나 케이블모뎀 처럼 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대의 IP 주소가 수시로 변경되므로 상대를 호출하려면 연결할 때 마다 상대에게 IP 주소를 물어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상대가 고정 IP를 사용하는 경우도 상대가 지금 호출을 받을 수 있는지( PC를 켜서 Netmeeting을 가동했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두 Netmeeting 사용자가 동일 ILS 서버를 지정하면 디렉터리 서버에서 상대가 호출이 가능한지를 알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PC를 켜서 넷미팅을 실행하면 디렉터리서버에는 이름과 IP주소가 등록됩니다.(넷미팅 옵션에서 ILS 서버를 지정하고 서버에 로그온 할 경우) 호출하는 측이 ILS 서버에서 상대의 이름을 클릭하면 ILS 서버는 호출하는 PC의 넷미팅 프로그램에게 상대 PC의 IP 주소를 알려줍니다. 호출하는 PC는 ILS 서버로 부터 받은 상대방의 IP 주소로 호출을 하고 상대가 호출을 수락하면 화상통신이 가능해 집니다. (IL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는 오직 넷미팅 프로그램에게만 전달됩니다.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당신의 연인이 지금 PC 앞에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단 연인을 호출했는데 연인의 무서운 아버지의 얼굴이 화면에 나타날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 해결책은 비디오 자동으로 보내기를 끔.)
리눅스랩의 ILS 서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웹에서 운영됩니다.(Believe It Or Not!) 즉 넷미팅의 "사람찾기"의 내용을 그대로 웹 화면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따라서 PC에 넷미팅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ILS 서버 접속자를 웹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넷미팅이 설치되어 있다면 호출할 수 있습니다. 호출을 받을 때만 서버에 로그온(접속)하면 됩니다.
웹 ILS 서버를 사용하면 접속자가 넷미팅의 이름 또는 설명에 중국어나 일본어 등 한글과 영어 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해도 화면에 표시됩니다.(익스플로러에 해당 언어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넷미팅의 "사람 찾기"에는 해당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언어 즉 영문 윈도라면 영어만 나타납니다.) 또 한글 윈도우 사용자가 아닌 영문/일본어/중국어 윈도우 사용자도 한글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접속자가 사용하는 IP 주소가 호출을 받을 수 없는 사설 IP(virtual IP)인지의 여부도 파악할 수 있고 (아래 "10" 참조) 사설 IP 사용시에 게이트웨이의 주소로 호출하게 한다던지, 자신의 홈페이지를 링크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리눅스랩의 ILS 서버는 물론 리눅스에서 가동됩니다.
리눅스랩 ILS 서버의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눅스랩의 웹 ILS 서버의 공식 URL은 http://ils.linuxlab.co.kr 입니다.
(외우기 힘들면 http://coolmeeting.co.kr 을 사용하십시오.)
웹 ILS 서버를 웹 BBS와 같은 것으로 잘못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웹 ILS 서버는 웹 BBS와는 다릅니다. 웹 ILS 서버는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PC에 설치된 넷미팅 프로그램 및 웹브라우저이고 서버 프로그램은 리눅스랩의 리눅스 서버에서 가동되는 DB 입니다. (웹 BBS는 웹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스타크래프트 게임 서버 (베틀넷서버)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보면 됩니다.*. CUseeMe 프로그램에서도 리눅스랩의 ILS 서버를 사용 가능합니다.MS사가 윈95에 넷미팅을 포함시키면서 디렉터리서버 - Microsoft 인터넷 디렉터리 - 를 운영했습니다.그러나 1999년도에 MS사는 디렉터리 서버 운영을 중단하고 대신 윈2000 서버 버전에 디렉터리 서버 프로그램을 넣었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디렉터리 서버는 모두 개인이 운영하는 것 들입니다.
NetMeeting 프로그램(윈도우용 한글판 V3.1의 경우)에서 "도구 -> 옵션 -> 일반"을 선택하고서 " 디렉터리 설정 " 아래의 "디렉터리(D)" 입력 난에 리눅스랩 디렉터리 서버의 주소(ils.linuxlab.co.kr)를 입력하면 됩니다. (아래 화면 참조) - 설치시 이미 지정했다면 필요 없습니다.
"NetMeeting 을 시작할 때 디렉터리 서버에 로그온" 및 "성, 이름, 전자메일주소"도 입력해야 합니다. (웹 페이지에서는 성과 이름을 합해서 한글 11자(영어 22자) 까지 표시됩니다.)
"위치"와 "설명"은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위치"에는 자신의 홈페이지(http:// 를 앞에 넣어야 합니다.), 나라 또는 도시명을 입력하시고 "설명" 난에는 기타 알리고 싶은 사항을 적으면 됩니다. 예를들어 외국에 있는 가족이나 친지와의 연결을 대기중이면 "가족/친구만 호출 허용" 식으로 적으면 됩니다.
윈도우를 시작시 Netmeeting 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려면 "Windows를 시작할 때 백그라운드로 NetMeeting 시작(R)" 도 선택하십시오.
*. 위의 옵션에 지정한 "전자메일 주소"를 아는 사람으로부터만 호출을 받고 싶으면 "디렉터리에 내 이름 표시 안함" 을 선택하십시오.
입력이 끝난 후 "확인"을 누르고 NetMeeting을 다시 시작하면 자동으로 리눅스랩의 디렉터리 서버 에 로그온 됩니다. "호출" 메뉴에 "ils.linuxlab.co.kr에서 로그오프"가 나오면 디렉터리 서버에 연결이 된 상태입니다.(이를 클릭하면 연결이 끊깁니다.)
ILS 서버 접속자 명단을 보려면 웹브라우저(익스플로러)에서 http://ils.linuxlab.co.kr을 연결하십시오.
ils 서버에 자신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으면 "옵션" "일반"에서 "디렉터리에 내 이름 표시 않음(<익명 접속>)"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십시오.(이를 체크하면 ILS 서버의 이름에 <익명> 이라고 표시됩니다.) 웹브라우저에 프록시 서버 사용을 지정하면 로그온 해도 프록시 설정에 따라서는 4 ~ 5 분 지나야 명단에 나타날 수 있으므로 ils.linuxlab.co.kr 사이트는 프록시 사용 제외로 지정하십시오.
디렉터리에 연결을 하려는 사람이 있으면 이름을 클릭하면 호출이 됩니다. 화면에는 "ils.linuxlab.co.kr/xxx@yyy.zzz 님의 응답을 기다리는 중" 메시지가 뜨고 상대의 PC의 스피커에 벨이 울립니다. 상대가 호출을 수락하면 화상 통신이 가능합니다.
호출시 상대에게 비디오를 보내지 않으려면 "도구 - 옵션 - 비디오" 메뉴에서 "호출을 시작할 때마다 자동으로 비디오 보내기"를 선택하지 마십시오. 대신 비디오를 보내고 싶을때만 도구 -> 비디오 -> 보내기를 누르십시오.
자신에게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면 상대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단 상대가 도구 -> 비디오 -> 보내기를 선택하고 자신은 도구 -> 비디오 -> 받기 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름 앞에 빨간색 별표(*)가 있으면 다른 사람과 현재 대화중임을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중지했는데도 계속해서 (*) 표시가 나타나면 Netmeeting을 중지하고 다시 실행하십시오.)
*. 화상+음성통신은 1:1 로만 가능합니다. 키보드로 대화는 여러명이 동시에 가능합니다.
*. 넷미팅 화면의 단축 버튼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다 상세한 설정이 필요하면 문답집을 참고하십시오.
넷미팅은 화상회의/통신 용 외에 아래 용도로 사용가능합니다.
넷미팅을 사용하면 상대가 지금 자리에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Windows를 시작할 때 백그라운드로 NetMeeting 시작(R)", "NetMeeting 을 시작할 때 디렉터리 서버에 로그온", "호출 자동으로 수락" 세 옵션을 선택하면 상대를 호출하면 자동으로 상대가 수신하므로 "비디오 자동으로 보내기"가 선택돼 있다면 상대가 자리에 있는지 화면으로 알 수 있읍니다. 예를들어 경비원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겠죠?
화면에 그림을 그려 설명이 가능하고, 직접 상품 등을 보여 주면서 상담, 사용법 설명이 가능합니다. 상대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대 PC에 설치된 프로그램 사용법을 가르쳐 주거나 설치된 프로그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 줄수 있습니다.(프로그램 공유)
DHCP를 사용하면(IP 자동 부여) PC의 IP가 부팅 때마다 변동되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방화벽에서 특정 사이트(IP 또는 port) 연결을 막은 경우에, 회사의 PC에서 다른 장소(예: 집)에 연결된 PC(인터넷에 연결된)를 넷미팅으로 연결한 후에 그 PC를 원격으로 제어하면(바탕화면 원격 공유) 회사에서 연결할 수 없는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읍니다.
또 보안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회사의 방화벽에는 회사의 PC에서 어느 사이트를 연결했는지 기록이 남습니다.(예를 들어 게임을 했다면 게임 사이트의 주소가 남겠죠.) 그런데 집의 PC를 넷미팅으로 연결해서 집의 PC를 원격 제어해 다른 사이트를 연결하면 회사 방화벽에는 오직 집 PC의 IP만 기록됩니다. 그러나 집 PC의 IP는 PC를 껏다 켤때마다 계속 바뀌므로 방화벽에서 어디를 연결했는지 추적이 불가능하죠.(집에서 사용하는 ADSL 이나 케이블 모뎀은 유동 IP입니다.)원격지 피시로 파일 전송(업로드)시 편리합니다. 전송하는 파일 크기에 제한이 없고 사설 IP를 사용하는 PC에서도 전송이 가능합니다.(상당수의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설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 업로드가 안됩니다.)
화상, 음성, 키보드 채팅, 화이트보드 기능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교재가 없이 1:1로 지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집에서 피시만 있으면 개인교수가 가능하겠죠?
원격지 PC간에 실시간으로 상호 디자인 정보를 교환한다면 화이트보드 기능을 사용해서 동시에 디자인 작업을 진행 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편을 짜 게임을 할 때 내 편과 넷미팅을 연결해 놓으면 음성으로 작전을 협의 할 수 있겠죠.(넷미팅 음성과 게임의 효과음이 같은 스피커로 동시에 수신되는지 모르겠네요.) 인터넷으로 바둑을 둘 때 넷미팅도 같이 연결하면 서로 대화를 하면서 바둑을 둘 수 있겠죠. 또 바둑이나 게임을 가르칠 때도 편리하겠죠. (바둑 프로그램과 넷미팅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게시판 참조)
회사에서 또는 출장 중에 유동 IP를 사용하는 집에 있는 PC에서 데이타를 가져오려면(윈도우 2000 이라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명령 : net use) 집 PC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 리눅스랩의 디렉터리 서버를 사용하면 집 PC의 IP 주소를 알 수 있다.
집 PC에 넷미팅을 설치하고 옵션에서 "Windows를 시작할 때 백그라운드로 NetMeeting 시작(R)" "NetMeeting을 시작할 때 디렉터리 서버에 로그온" "디렉터리에 내 이름 표시 않음"을 선택한다. 다음에 리눅스랩 디렉터리서버의 <익명> 접속자 호출에 집 PC의 넷미팅에 지정한 전자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집 PC의 IP 주소가 나타난다.
노트북에 인터넷 방송국을 설치하고 노트북이 무선 인터넷을 연결할 때마다 회사 웹서버에 이 노트북 주소로 링크를 걸면(웹서버에 리눅스랩 디렉터리 서버에서 노트북의 IP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이동식 중계방송이 가능하겠죠.
*. 동일 방화벽 내에 있는 PC 사이에서도 리눅스랩의 디렉터리 서버를 이용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단 방화벽에서 목적지 포트 번호 389번과 1002번 포트를 막지 않아야 합니다.)
리눅스랩에 용무가 있으면 리눅스랩 콜센터 또는 리눅스랩 디렉터리 서버 (ils.linuxlab.co.kr)의 디렉터리에서 전자우편주소가 "xxx@linuxlab.co.kr" 인 사람을 호출 하십시오. 단 넷미팅 설치 관련 문의는 받지 않습니다.
자신의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넷미팅 디렉터리 서버(웹방식)를 운영하고 싶으시면
리눅스랩에서 월 일정 비용으로 대신 운영해 드립니다. ( 문의 : info@linuxlab.co.kr)
(계정과 패스워드를 부여해 특정인만이 디렉터리 서버를 이용하게
하거나, 서버 접속 시각, 접속자의 IP 주소 등의 각종 로그 기능이 가능합니다.)
아래 내용 "10"은 인터넷과 네트워킹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 이해 할 수 없습니다. 일반인들은 "11" 번으로 넘어 가십시오.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해 IP를 공유하거나 방화벽 내의 사설(내부) IP를 사용하는 PC에서 인터넷의 다른 PC에 NetMeeting 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adsl 이나 케이블 모뎀으로 인터넷을 연결해서 두 대 이상의 피시에서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거의 ip 공유이다.)
호출을 받을 수 없거나 비디오(카메라)나 음성 기능이 한쪽으로만 전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이 안되는 현상)이 되는 증상이 가장 흔하다. 키보드 대화나 파일 전송은 보통 가능하다. 디렉터리 서버에 자신의 이름이 표시된다고 호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디렉터리 서버에 연결할때 사용하는 포트번호와 호출을 받을 때 사용되는 포트번호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사설 IP를 사용해서 IP 를 공유해도 디렉터리 서버에는 이름이 나타난다.
아래는 IP 공유(사설 IP)를 사용하는 경우에 디렉터리 서버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와 넷미팅을 연결하는 경우의 호출 및 비디오, 음성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넷미팅에서 사설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일 업로드는 된다. MSN 메신저는 사설 IP의 경우 파일 업로드가 안된다.)
*. 사설 IP PC에서 동일 랜에 연결되지 않은 사설 IP를 호출시 호출이 갈수도 있다. 단 전혀 예측하지 못한 결과가 나올수 있다. 예를들어 사설 IP를 사용하는 회사 PC에서 외부의 사설 IP를 사용하는 여자 친구를 호출했는데 회사 사장님 PC로 호출이 갈 수도 있다. (사장님께 찍혔다고 저를 원망하지 마세요.) 왜 이런 결과가 나올수 있는지 이해 하셨나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공유기는 H.323을 지원하지 않는다. (DMZ를 사용하면 1 대에서는 가능한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지원이라기보다는 편법으로 보아야 한다.) 넷미팅은 유동 포트를 사용하므로 공유기(방화벽)에서 넷미팅을 지원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
넷미팅을 지원하는 공유기(라우터)에 대한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 공유기 또는 방화벽에서 DMZ 를 설정하면 호출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공유기에 부여된 공인 IP로 호출하면 내부의 지정된 사설 IP로 호출이 전달된다. - 그러나 DMZ 를 설정시 공유기의 일부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ort Function Outbound Connection ------ ----------------------------- ------------------------- 389 Internet Locator Service (ILS) TCP 522 User Location Service TCP 1503 T.120 TCP 1720 H.323 call setup TCP 1731 Audio call control TCP Dynamic H.323 call control TCP Dynamic H.323 streaming Real-Time Transfer Protocol (RTP) over UDP ------------------------------------------------------------------
방화벽의 진정한 설치 목적은 내부 사용자는 외부 인터넷에 자유로히 사용이 가능하되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런데 내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도 사용할 수 없다면 그 방화벽은 절반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는것이다.
(화재를 막는다고 불을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는 없다. 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방화벽도 필요 없다.)
방화벽 운영체제가 리눅스인 경우 방화벽 내의 PC에서 외부의 PC와 넷미팅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다면 그 방화벽 제품은 대단히 문제가 많다. 리눅스는 방화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넷미팅이 지원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방화벽 들이 기술 부족 또는 설정의 용이성 때문에 방화벽 내에서 사설 IP(192.168.x.x, 172.17~31.x.x, 10.x.x.x)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는 할당된 공인 IP를 사용하는 척하면서 외부의 공인 IP를 NAT로 바꾸어 사설 IP화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IP만 공인 IP이지 실제는 사설 IP인 경우이다.)
제대로 만든 방화벽이라면 방화벽 내에서 넷미팅을 사용하는 경우에 화상/음성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방화벽 내에서 사설 IP를 사용하지 않고 공인 IP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서브네팅으로 네트워크를 둘로 나누고 그 중 절반을 방화벽 내로 라우팅 해주는 방식이나(즉 라우터에서 방화벽의 주소를 게이트웨이로 지정해서 절반의 네트워크를 방화벽 내로 보낸다.) 이는 할당된 IP 의 절반을 방화벽 내에서는 사용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리눅스랩에서 개발한 라이브라는 서브네팅을 하지 않고도 방화벽 내에서 자유로히 공인 IP를 사용한다. 따라서 넷미팅을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사설 IP를 사용해도 넷미팅이 지원된다.)
프로그램/제품 | 운영체제 | 비디오 수신 | 음성 수신 | 호출 포워딩 | 설정 방법 |
ipchains, iptables | 리눅스 | Yes | Yes | Yes | ipfwadm, DNAT |
사이게이트 | 윈도우 | Yes | Yes | ? | ? |
3Com 공유기 | ? | ? | ? | ? | DMZ 설정 가능 |
*. 필자가 직접 테스트 해 보지 못한 경우도 있으므로 위 표의 신뢰성은
독자의 판단에 맡긴다.
위 표에 추가되기를 원하면 필자에게 자세한 메일 보내주기 바란다.
오디오 나 비디오 장치는 여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므로 다른 프로그램이 이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시작 프로그램에 MSN 메신저(또는 다른 메신저)가 있으면 충돌이 날수 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등도 동시 사용하면 문제가 된다. ICQ 는 최신버전을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 윈도우에서 모든 프로그램을 닫고 넷미팅을 실행한다.
오디오(음성) 수신이 안되거나 전송이 안되면 넷미팅을 종료 후 "도구" -> "오디오 조정 마법사"를 실행해서 마이크와 스피커 기능을 테스트한다.
비디오가 안되면 먼저 비디오 장치(카메라)가 넷미팅에서 인식이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 "도구" -> "비디오" -> "보내기" 가 선택되어 있는지, "보기" -> "내 비디오"를 선택해서 자신의 모습이 보이는지 확인한다.
1. 도구 - 비디오 보내기 를 확인한다.
2. 비디오 장치를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하고 있다.
3. 상대방이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거나 IP 공유를 사용하고 있다.
1. 도구 - 비디오 받기를 확인한다.
2. 내 PC가 속한 랜에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거나 IP 공유(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다.
1. 도구-옵션 에서 "디렉터리에 내 이름 표시 않음"이 선택되어 있다.
2. 전자우편 주소가 다른 접속자와 동일하다.
3.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다.
4. "도구" -> "옵션" -> "일반" -> "디렉터리(D)" 에
ils.linuxlab.co.kr
을 넣고 넷미팅을 종료 후에 다시 실행한다.
5. "NetMeeting 을 시작할 때 디렉터리 서버에
로그온" 옵션을 체크하지 않았다.
넷미팅/디렉터리서버 FAQ에도 관련 글이 있으니 참고 하시오.
디렉터리 서버에는 표시가 되지만 상대로부터 호출을 받지 않거나 상대를 호출하지 못하게 하려면 라이브라에서 목적지 포트번호가 1720번인 경우의 선택적 filtering을 적용하면 됩니다. 즉 라이브라에 아래 명령을 주면 해당 PC는 넷미팅 호출을 받지 않습니다.
iptables -A FORWARD -i eth1 -p tcp --dport 1720 -d IP_OF_MY_PC -j DROP
가장 쉬운 방법은 음성 수신에 헤드셋 대신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마이크 기능은 헤드셋을 그대로 사용하고요.) 그러면 호출이 들어오면 스피커에서 벨이 크게 울리니 알수 있겠죠. 단 스피커 볼륨이 너무 크면 윈도우 리부팅시 천둥 치는 소리가 나니 조심하시길.
(ILS 서버 설치나 넷미팅에 대한 질문을 메일로 보내고서 답장을 기대하지 마십시오. 넷미팅으로 저를 호출하려면 꼭 음성 수신이되는 피시에서 하십시오. 제 키보드가 과로를 많이 해서...)
게시판에 질문을 올릴 때는 아래 사항들을 알려주어야 정확한 답이 나옵니다.(잘 모르면 네트워크 담당자에게 문의해 보십시오.)
*. 이 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글이나 웹페이지에서 인용해도 됩니다.
단 출처를 표시해야 하며(리눅스랩 배철수) 수정해서는 안됩니다.
*. NetMeeting is Trademark of Micro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