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랜 강좌 - 랜카드 및 케이블
리눅스가 설치된 피시를 랜에 연결하려면 첫번째로 랜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에 맞는 랜카드와 장비를 갖추어야한다. 아래에 랜카드와 케이블 등에관한 사항을 정리해본다.
아래 설명은 리눅스 호스트도 PC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워크스테이션인 경우도 PC와 큰 차이가 없다. 단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랜카드가 기본으로 장착돼 있는 경우가 많다.
리눅스는 3대 주요 랜 표준을 모두 지원한다. 즉 이더넷(Ethernet), 토큰링(Token Ring), 아크넷(Arc net) 을 모두 리눅스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FDDI, ATM, 등도 리눅스에서 지원하는걸로 알려지고 있다.
이중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랜 표준은 이더넷이다. 우리나라에 설치된 랜의 90%이상도 이더넷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기서도 이더넷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이더넷용 랜카드를 종류별로 나누면
전송속도에따라 10Mbps와 100Mbps 두종류가 있다. 보통 100Mbps 랜카드는 10Mbps 속도도 지원한다.
ISA , EISA , PCI 용 등이 있다.
어떤 랜카드는 이 셋중 2가지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콘넥터가 두개 이상 있어도 두 콘넥터를 동시에 사용 할수는 없다.
AUI 콘넥터는 요즘 거의 쓰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요즘 THICK 케이블 쓰는거는 낡은 방식이니까). 하지만 AUI 콘넥터에 트랜시버를 달면 BNC케이블이나 UTP케이블을 쓸수 있다. LAN 카드가 combo라면 보통 위 세 콘넥터가 모두 있는걸 의미한다.
리눅스에서 가장 적합한 랜카드를 추천하라면 3COM 3Cxxx를 권한다.
THICK 케이블을 백본 케이블이라고도 하는데 공사도 어렵고 기타 부대 경비도 많이 든다. 백본을 랜카드와 연결하려면 트랜시버 와 트랜시버 케이블을 써야하는데 비용이 꽤 비싸다. 트랜시버 1개 5만원 이상(pc 한대마다 1개씩 필요) 트랜시버 케이블 미터당 5천원 정도 랜카드는 물론 AUI 콘넥터가 있는걸 써야죠.
사용하는 케이블에 따라 랜의 총 길이(가장 먼 노드까지의 거리)가 다르다
- UTP 케이블 : 100미터
- Thin 케이블 :
200미터
- Thick 케이블 : 500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