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설치 입문 I

번역 : 이성주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참고 사항 :



이 글은 리눅스 월드 '99년 2월호 기사이다.
이 글 전체를 홈페이지나 통신, 다른 인쇄물에 올릴 수 있으나 수정하여서는 안된다.
일부만을 인용할 경우는 리눅스 월드 '99년 2월호에 실린 글 임을 명시 하여야 하며,
리눅스 월드 홈페이지URL(http://www.linuxlab.co.kr) 도 표시하여야 한다.

이글은 Linux Gazette에 실렸던 기사입니다. 기초적인 설치법이 많이 나와있지만 정작 리눅스에 대해서 알고싶어할 때 궁금한 질문사항을 적절히 해결할 만한 내용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여기에 Ron Jenkins이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설치에 대한 사항을 기사화 했습니다. 설치를 위해서 자료를 찾아보시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한 원본은 다음의 웹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http://www.linuxgazette.com/issue32/jenkins1.html
http://www.linuxgazette.com/issue33/jenkins2.html

◈ 리눅스 설치

여러분은 아마 리눅스에 대한 여러 가지 선전을 들어봤을 것이고 이 “리눅스” 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 볼려고 결심한 적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상업용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적은 비용으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운용체제가 필요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다양한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해서 서로 통신이 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필요하게 될 수 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호기심을 충족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지 이 기사가 그러한 점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제 리눅스 운영체제에 대한 흥미진진한 세계로의 여행을 해보도록 하죠.

  1. 도대체 리눅스가 무엇인가요?

    리눅스는 Linux Torvalds와 전세계에 있는 수많은 프로그래머에 의해서 개발된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는 유닉스입니다. 해커의 시스템으로 시작되었고 최신기술의 수용을 주요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던 리눅스는 이제는 계획적으로 개발되고 안정적인 운영체제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개인적인 목적 뿐만 아니라 중요한 업무에도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애플리케이션과 툴들이 함께 했습니다.
    최근 6달동안 리눅스는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매일 리눅스는 기사거리가 되고 신문지상에 발표가 되고 있죠. 많은 상업적인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리눅슬 지원할 것을 발표하고 있거나 리눅스 운영체제로 자신들의 제품들을 포팅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요전에 유닉스 데이터베이스 세계의 최대업체인 오라클과 인포믹스가 리눅스로의 포팅이 진행중인 것을 보았었습니다.

  2. 이렇게 훌륭한 시스템이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리눅스는 필자와 같은 신기술 추종자들뿐만 아니라 전체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필자에게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은 재미있는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지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또는 재미로 네트워크 서핑을 하기를 원한다거나 게임을 하기를 원할 수 도 있습니다. “아주 쓸만한 애플리케이션”이 없다면 운영체제는 상업적으로는 이미 끝난 것입니다.
    훌륭한 애플리케이션과 개발 툴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것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배우는데 들이는 최소한의 비용을 제외하고는 추가적인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이 모든 것을 충족시킬만한 운영체제를 전에는 본적이 없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여러분이 리눅스를 교육적으로 사용한다면 놀라운 기술의 진전을 볼 것이고 당장에 어떠한 직장에라도 갈 수 있을 만한 능력을 가지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리눅스의 장점중의 한가지는 당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깊이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단지 한 두 개의 문서나 작성하고 게임만을 하길 원하시는가요? 물론 그러한 것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서핑하고 E-mail을 교환하길 원하세요? 그것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작성하고 싶으신가요? 당장에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보면 리눅스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게다가 리눅스를 사용해 가면서 만약 여러분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때 많은 돈을 지불할 필요도 없습니다.

  3. 알겠습니다.! 놀랍군요. 그러나 나는 유닉스가 구성하기가 까다롭고, 설치가 어려우며 오직 몇몇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말들을 들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시절도 있었죠. 그러나 지금은 1999년이고 이러한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설치와 구성을 하는데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경우에 리눅스는 더 이상 설치가 까다롭지 않게 되었습니다. GUI 형식의 패키지관리자와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설치과정이 지금까지 커다란 논쟁거리가 되어 왔습니다.

    사실 여러분이 리눅스 세계에 들어오기 위해서 지금보다 더 좋은 시간을 가질 수는 없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네트워킹에 대한 주제를 얻기 원한다면 Windows 장비보다는 유닉스 장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이야기지만 새로운 구성 유틸리티와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진행 상태 등이 결합하여졌기 때문에 필자는 리눅스가 Windows 보다 더 쉽게 설치할 수 있다고 강력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리눅스가 판매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어디에서 그것을 얻어야 할지 알 수 없다라고 말할 수 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 리눅스에도 상업적인 배포본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상업적인 지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게는 이러한 상업용 배포본이 있다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 될 것입니다.

    이제 리눅스의 비밀무기에 대해서 말을 해보도록 하죠. 이에 앞서 필자가 언급할 많은 사람들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들은 가상세계에 있는데 그들은 여러분을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도와줄 사람들입니다. 여러분은 그러한 사람들을 USENET과 IRC와 지역적인 리눅스 사용자 모임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이러한 자유로운 비상업적인 모임들은 최종 사용자 사회에서 신선한 충격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함 점으로 인해서 리눅스가 전례없이 1997년에는 올해의 제품으로 선정되게 된 것입니다.

  4. 알겠습니다. 그러나 나는 매우 느린 오래된 486 DX2/66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가 내게 적당하다고 생각합니까?

    대답은 "당연하다" 입니다. 리눅스는 디스크없는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XT는 물론이고 가장 최신의 하드웨어까지 어느곳에서나 실행될 수 있습니다. 사실 필자는 라우터로부터 웹서버까지 또는 다이얼업 서버에서 파일서버까지 어느 것에나 이러한 장비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는 현재 486 66Mhz 사양의 장비 2대를 백업 DNS 장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리눅스의 또 다른 힘입니다. 리눅스는 “오래된” 시스템에서도 그 성능을 발휘합니다. 이것은 비영리기구, 오래된 시스템에서 최대한 효과를 끌어내려고 하는 비용에 민감한 기구등에서 비용을 절약하는 한가지 방법이 됩니다.

    여기에는 한가지 예외가 있는데 당신의 비디오 서브시스템이 그것인데 GUI인 X는 비디오 카드를 많이 가립니다. 그래서 지원하지 않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된 주요한 원인은 많은 비디오카드 제조사들이 자신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리눅스 개발자들에게 주지 않아서 해당 하드웨어에 대한 지원사항을 개발 할 수 없었기 때문입 니다.

    그러나 점점 많은 업체들이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상업적인 X 서버등도 계속적으로 발표가 되고 있습니다. 만약 16색 VGA이상을 사용하길 원한다면 이 기사의 마지막쯤에 X가 지원하는 비디오카드의 목록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리눅스의 다양한 배포본은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점이 더욱 새로운 장비가 반드시 장점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필자는 여러분이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256MB 램을 가진 펜티엄 II시스템이나 600Mhz 알파시스템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386이나 또는 그 이상에 4MB이상의 램을 가지고 있으면 그런대로 잘 동작합니다. 만약 X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8MB나 또는 16MB이상을 사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RAM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사실 필자는 고객들에게 빠른속도의 프로세스에 적은 RAM 보다는 느린속도의 프로세스에 많은 RAM을 사용하라고 말하곤 합니다.

    여러분이 지금까지 들었던 것과는 다르게 프로세스의 속도가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지 않는 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길 원한다면 당장 RAM을 늘리고 디스크 서브시스템의 속도를 높이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어떠한 IDE HDD형식과 ATAPI CD-ROM도 대부분의 SCSI호스트와 디스크처럼 매우 잘 동작합니다. 그러나 SCSI장치에 대한 설치는 좀 복잡한 것 같아 별도의 장에서 설명을 할 것입니다.

  5. 알겠습니다. 당신이 절 설득시켰군요. 그럼 다음은 무엇인가요?

    여러분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배포본을 선택하는 일입니다. 리눅스는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들과 운영제체의 모음으로 여러사람들과 여러 회사에 의해서 패키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보통 배포본이라고 부릅니다. 혼란스러울 정도로 많은 배포본들이 있죠. 그래서 이것은 최적의 휴향지를 고르거나 마음에 가장 드는 옷을 고르는 것과 비슷합니다.

    필자는 슬랙웨어 3.5와 레드햇 5.1를 가지고 설명을 할 것입니다. 이것들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서 친숙할 것입니다. 많은 설명이나 선택사항에 대한 구성, PCI 장치를 자동검색 하는 것 그리고 새로운 비디오 카드를 지원하는 것 등은 오직 이 배포본들에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자의 설명은 이것들을 기준으로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배포본을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군요. 만약 여러분의 취향이 다르다면 다른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어떻게 소프트웨어를 얻을 수 있습니까?

    여기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필자가 언급했던 모든 배포본들은 자유롭게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레드햇과 슬랙웨어는 구입도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리눅스에 대해서 설명한 책들에 번들되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리눅스 사용자 그룹의 정기모임에서 얻을 수도 있습니다.


    주의사항 : FTP나 NFS를 통해서도 이러한 배포본을 설치할 수 있지만 처음 설치하는 경우에는 CD-ROM을 구해서 CD로부터 설치하기를 바랍니다.


  2. 먼저 알아야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괜찮은 질문입니다. 먼저 알아야할 사항에는 몇가지 있습니다.

    시스템에 몇 개의 운영체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할 수는 있지만 될 수 있는 대로 장비를 따로하거나 최소한 디스크를 운영체제별로 분리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중 운영체제의 설치는 설치를 여러번 해보고 열심히 연습해보고 당신이 주로 사용하는 OS와 데이터의 손상이 입을 염려가 줄어들게 되어서 할 수 있다는 확신이 섰을 때 해보기를 바랍니다. 또한 나중에 필자는 어떻게 이 장비에서 모든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알려 줄 것입니다. 여기에서 작업에는 인터넷 접속을 한다거나 파일과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또는 여러분의 집안 내부 네트워크을 위한 시작점등을 지정하는 것등을 말할 수 있습니다.

  3. 나는 부자가 아니며 당신이 언급한 것과 같은 열악한 기계를 어디에서 얻을 수 있습니까?

    신문이나 지역 리눅스 사용자 그룹을 둘러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거기에서 거의 돈을 들이지 않고 장비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목표로 하는 것은 누구든지 성공적인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유닉스를 다루는 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비밀스런 방법을 익히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두 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ATAPI 호환의 CD-ROM을 가지고 있는 장비를 어러대 얻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 같은데 그러한 모든 추가적인 사항없이 시험을 할 수는 없는 것인가요?

    만약 당신이 나의 경고를 완전히 무시하고 리눅스를 주장비로 사용하려 한다면 자신이 사용하는 것은 모두 백업을 받아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겠군요. 충분한 백업장치가 없을 때는 슬랙웨어 배포본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배포본은 CD-ROM에서 직접 실행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5. 알겠습니다. 난 여분의 장비나 추가적인 디스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에 무엇을 하죠?

    만약 여러분이 여분의 장비를 얻지 못했다면 위에서 말한 경고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잘못해서 자료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백업을 받기를 바랍니다.

    제일 먼저 할 일은 부트디스크와 각각의 상황에 따른 여분의 디스크 즉 루트나 또는 추가디스크를 만들어야 합니다.

    만약 레드햇과 같은 상업용 배포본을 구입했다면 이미 디스크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슬랙웨어의 상업적인 버전은 최신장비의 CD-ROM에서 바로 부팅이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 책에서 번들된 버전을 가지고 있다면 디스크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디스크를 만들려면 한 장이나 또는 두장의 DOS 포맷의 디스크가 필요하게 됩니다

    필요한 부트이미지는 설치하려고 하는 배포본에 따라 다릅니다.

    레드햇의 경우에는 /image 디렉토리에 있고 boot.img와 supp.img라고 이름이 붙여져 있을 것입니다. 보통은 boot.img 하나만 필요할 것 같군요.

    슬랙웨어의 경우에는 /bootdsks.144 와 /rootdsks 라고 불리는 디렉토리를 확인하면 됩니다. 만약 IDE 장치가 필요없다면 bare.i 이미지를 부트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otdsks 디렉토리에서는 루트 디스크로 color.gz 이미지를 사용하면 될 것입니다.

    부트와 루트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은 리눅스에서 만드느냐 DOS 환경에서 만드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DOS 환경 즉 윈도우 3.x, 윈도우 95, 윈도우 98, 윈도우 NT라면 RAWRITE.EXE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보통 /install 이나 또는 /dosutils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명령행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C:> RAWRITE <enter>You will be asked for the source file name:bare.i <enter>You will next be asked for your target drive: A: <enter>

    만약 프로그램이 에러를 발생시키면서 “Attemption to DMA across 64k boundary” 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sunsite.unc.edu에 FTP를 이용하여 들어간 다음 다음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버전의 RAWRITE 프로그램을 가져오면 됩니다.

    /pub/Linux/distributions/redhat/redhat-5.1/i386/dosutils/

    이것은 아마 원래 사용했던 것보다 크기가 더 작을 것이고 에러도 없을 것입니다. 필자는 NT를 사용한 경우와 윈도우 98을 사용한 경우에 이러한 경험을 한 기억이 있습니다.

    만약 리눅스나 유닉스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dd if=<your boot or root image> of=<where to write it to> bs=1440k

    그래서 만약 슬랙웨어 부트 디스크를 만들려고 한다면

    dd if=bare.i of=/dev/fd0 bs=1440k <enter>

    이와 같이 입력하고 루트디스크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야 합니다.

    dd if=color.gz of=/dev/fd0 bs=1440k <enter>

  6. 알겠습니다. 필요한 디스크를 만들었습니다. 다음은 무엇을 하죠?

    지금 플로피 드라이브에 부트디스크를 넣고 장비를 재부팅시키십시요.

    이 시점에서는 루트로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로그인 뒤에 디스크를 파티션 해야 하는데 이것은 HDD를 파티션한 뒤에 포맷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배포본에 따라서 어느 곳의 리눅스 native 파티션을 원하는지 또는 마운트하길 바라는 파티션이 어디인지를 묻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질문에는 각 포맷된 파티션이 파일시스템 계층상에서의 위치를 정해주면 됩니다.

    단일 디스크 시스템에서라면 단일 리눅스 native 파티션을 root 또는 / 파티션으로 마운트 합니다.

    두 개의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첫 번째 디스크를 마운트합니다. 그런 다음 두 번째 드라이브의 리눅스 native 파티션을 /home 디렉토리로서 마운트합니다. 이 /home 파티션에는 사용자의 정보나 파일들을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할 것입니다. 그래서 하드가 망가질 정도의 문제가 OS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만약 그러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추가하여 나중에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정기적인 백업 계획이 필요합니다. 필자는 정기적인 신뢰성 있는 백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백업에 대해서 필자가 편집증적인 증세를 보이는 것 같아 보이지만 그렇게 필자가 보이는 것이 오히려 자랑스럽습니다. 필자는 기회가 될 때마다 고객이나 친구나 같이 일하는 동료들에게 이 점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필자는 그들을 위해서 이런 말을 하는 것 때문에 상당히 웃기는 사람으로 취급당하기도 합다. 그러나 이렇게 취급당하는 것도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끝이 나고 이러한 경우에 그들에게는 필자가 구원자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만약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백업을 제대로 했다면 당신은 모세처럼 보일것이고 이것은 연봉협상에 좋은 영향을 줄 것입니다.

  7. 알겠습니다. 나는 파티션을 만들었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설치를 위해서 나만의 선택사항은 무엇이고 내가 필요한 프로그램은 무엇입니까?

    한가지 알아야 할 예외사항이 있지만 리눅스의 설치에는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은 용량이 작은 것부터 큰 것 순으로 나열하였습니다. 한가지 예외라는 것은 CD-ROM에서 직접 실행하는 경우입니다. 레드햇 배포본의 경우에는 CD-ROM에서 직접 실행하는 것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1. CD-ROM에서 직접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이 CD-ROM 시스템은 “이미 실행중인” 파일시스템인 것입니다.

      이 방법이 기존의 시스템에 가장 적은 영향을 주면서 리눅스를 실행시키는 방법입니다. 만약 CD-ROM 이 느리다면 수행능력은 떨어지게 될것입니다. 이 방법은 여러분이 사용하는 주요한 시스템에 특별한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해서 권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확한 방법은 배포본마다 다양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보통 “run from CD-ROM” 또는 “run from live filesystem”으로 불립니다.

    2. 최소한의 기본적인 시스템 설치입니다. 이것은 단지 부팅이 되고 실행만 되기 위한 내용만 설치하는 것입니다.

      리눅스는 설치하기 위해서 최소한 두 개의 파티션이 필요하다. 하나는 루트 파티션이고 이것은 리눅스가 설치되는 최상위 디렉토리이고 다른 하나는 스왑파일을 위한 파티션입니다.

      한 드라이브에 운영체제를 위한 장소를 유지하고 또 다른 장소에 임시 저장소를 사용하는 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입니다.

      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에 익숙해 있다면 루트 파디션은 C:\ 드라이브라고 말할 수 있고 그리고 스왑파일은 pagefile.sys와 같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장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분리된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은 좋은 생각인데 이러한 것이 리눅스에도 적용됩니다. 즉 데이터를 다른 하드에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왜 필자가 리눅스 장비의 HDD가 두 개가 필요한지에 대한 이유입니다.

      선택한 배포본에 따라서 필요한 파티션은 다양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나 또는 두 개의 HDD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최선의 파티션을 하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 슬렉웨어

        cfdisk 유틸리티를 사용합니다. 이 유틸리티는 이해하기가 쉽고 충실한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 레드햇

        여러분은 Disk Druid를 사용하길 바랍니다.

      디스크가 하나밖에 없는 장비에서는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하나는 스왑 파티션으로 이것은 16에서 32MB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겠군요. 크기는 가지고 있는 장비의 RAM 용량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사용하는 유틸리티에 따라서 리눅스에 스왑파티션을 위한 헥사코드를 지정해 주어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 것을 요구한다면 82라는 스왑파티션 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디스크의 나머지 부분은 리눅스 native 파티션으로 잡아야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파티션을 세 개로 나누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루트파티션이 잘못되는 경우에 사용하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보통 합니다. 그러나 필자는 단지 일정부분만 이상이 생기는 경우를 거의 본적이 없습니다. 보통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두 잃든지 아니면 아무것도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필자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두 개의 디스크를 권장합니다. 필자는 두 개의 디스크가 동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번개 때문에 전체 시스템이 문제가 생긴 경우 외에는 본적이 없습니다.

      두 개의 디스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프라이머리 HDD 또는 첫 번째 HDD (보통 배포본에서는 hda 라고 불린다.) 에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은 두 개의 파티션을 만듭니다.
      세컨드리 IDE 장치 또는 두 번째 HDD 에는 16이나 또는 32MB정도의 추가적인 스왑파티션을 만듭니다. 그리고 드라이브의 나머지 부분은 리눅스 native 파티션을 만듭니다.

      • 슬렉웨어

        다음 디스크 시리즈만 선택합니다.
        A
        AP(선택적이다.)

      • 레드햇

        기본적인 사항을 받아들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3. 원활한 사용을 위한 설치입니다. 이것은 기본 시스템에 작업에 필요한 것과 네트워크 그리고 개발에 필요한 툴등을 더한 것입니다.
      • 슬랙웨어

        다음 디스크 시리즈를 선택합니다.
        A
        AP
        F
        D
        N
        X
        XAP

      • 레드햇

        기본 선택사항에다 다음을 추가합니다.

        X applications
        Development tools

    4. 전체 설치입니다. 이것은 보통 “우리 얼마나 많은 용량이 필요한지 봅시다” 라는 것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 슬랙웨어

        최상위의 “complete installation”을 선택합니다.

      • 레드햇

        “Everything”을 선택합니다.

        전체를 모두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려해야 할 만한 몇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Everything”을 선택한 곳 아래에 대화 상자가 있습니다. 이곳에는 “Choose individual packages.” 라는 문구가 있는데요 이것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에 설치하려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대화상자가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Documentation까지 스크롤을 시킵니다.
        몇가지 이유로 레드햇은 매뉴얼로 알려진 모든 형식과 모든 언어의 HOWTO를 설치합니다.
        여기에서 문서의 텍스트 형식과 html 형식만을 선택합니다. 이러한 설정에는 적당한 이유로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용한 문서가 다른 언어로도 필요하다면 적당한 언어의 문서를 선택합니다. 이것이 끝나면 done을 선택합니다. 이것으로 디스크 공간을 줄이게 될 것입니다.

        두 개의 배포본에 모두 동일한 사항도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하려는 배포본에 상관없이 수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1. 부트와 복구 디스크를 만들기
        • 슬랙웨어

          설치과정의 끝에 가면 새로운 리눅스 시스템을 구성할 것을 요구할 것입니다. 필자는 둘 다 lilo 부트디스크 또는 vmlinuz 부트디스크를 만들기를 강력하게 권합니다. 그리고 LILO 선택사항을 설치하는 것에는 NO를 선택합니다.

        • 레드햇

          설치의 끝에서 부트디스크를 만들도록 요구하는데 yes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X 윈도우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온다면 no를 선택합니다. 만약 X에 대한 이러한 사항을 강제적으로 해야 한다면 기본적인 사항만을 선택합니다. 네트워킹을 위해서 만약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설정해야 한다면 127.0.0.1이나 또는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loopback”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설치의 다음 단계에서 이러한 작업을 할 것입니다.

      2. 루트로 로그인해서 자신을 위한 사용자 계정을 만듭 니다.

        루트로 로그인해서 작업을 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도 있는 반면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에 사용자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길 권합니다.
        이러한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당신의 사용자 계정으로 들어간 경우에는 최소한 최악의 경우는 만들지 않는데 있습니다.
        그러나 루트로 로그인하였을 때는 시스템에 설치된 대부분의 보호수단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것이라도 할 수 있지만 그래서는 안됩니다. 파일 시스템은 호스와 같은데 이것은 superuser 계정일때에는 편리한 부분도 있고 단점이 될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것은 이미 뽑아든 총처럼 주의깊게 다루어야 합니다. 만약 이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면 그것을 뽑아들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만약 그것을 사용하려 한다면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하고 다시 원위치로 되돌릴 수 있어야 합니다.
        필자는 여러분이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겁을 내기를 바랍니다. 여기에 그렇게 해야만 하는 당연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루트로 로그인 합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 자신을 위한 사용자 계정을 만듭니다.

        adduser rjenkins

        여러분은 몇가지 질문을 받을 것이고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기본설정상태 그대로 하려면 주의깊게 엔터를 치면 됩니다.

      3. 루트와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선택하여 입력합니다.

        여기에서 당신은 루트 계정과 사용자 계정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패스워드가 필요합니다. 루트로 로그인해서 passw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asswd root

        그리고 사용자 계정도 마찬가지로 합니다.

        passwd rjenkins

        패스워드에는 간단한 주석을 달 수 있습니다. 좋은 패스워드 계획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든지 그렇지 않든지 다 해당되는 것이죠. 간단한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아무거나 생각해보죠. 예를 들어 kibble로 하죠.
        다음은 여기에 점이나 또는 숫자를 더합니다. ?kibble4 처럼 해보죠
        마지막으로 더 좋은 보안을 위해서 쉽게 만들어진 단어(여기에서는 kibbe)에 키보드에서 위쪽이나 또는 아래쪽으로 또는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문자를 선택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듭니다.
        그래서 ?kibble4라면 위쪽과 왼쪽으로 이동하여 ?u8ggi34라는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위쪽과 오른쪽으로 했다면 ?o9hhp44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쉽게 기억할 수도 있고 복잡한 패스워크 크래킹 프로그램을 무력화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8. 리눅스 시스템을 살펴보고 문서로부터 도움과 정보를 얻기

    여러분이 해야할 첫 번째 일은 어떻게 시스템을 돌아다닐 수 있는가를 배우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는 대부분의 문서는 /usr/doc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특별히 /usr/doc/howto 디렉토리를 주의깊게 보길 바랍니다. 그리고 설치가이드와 사용자 가이드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약 책에 번들된 CD를 구입했다면 그것을 사용하고 책안에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는 doc 디렉토리에서 배우는 시작을 위한 여러 가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편집기나 문서에 관련된 툴은 문서마다 매우 다양하지만 어떠한 배포본에도 vi는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그것을 좋아하든 그렇지 않든 배우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것은 기본적인 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어떠한 유닉스 시스템도 vi가 있기 때문에 혹은 유닉스 시스템을 다루어야 할 경우를 생각하면 최소한의 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짧게 여기서는 관련된 몇가지 명령어의 간략한 리스트를 보여줄 것입니다.

    더 좋은 방법은 Midnight Commander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지 명령행에서 mc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이것은 Norton Commander와 비슷하고 DOSSHELL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쉽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X의 설정

여기서는 X 서버 설정을 할 것이고 윈도우 매니저를 선택할 것이며 X 윈도우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대한 몇가지 것에 대해서 배울 것입니다. 말한 것만큼 어렵지 않습니다. 아마 상당히 재미있을 것입니다. 자 이제 리눅스를 그래픽컬하게 만들어봅시다.
여기서는 다음 사항을 다룰 것입니다.

1. X 윈도우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2. 지원되는 하드웨어
3. 지원되지 않는 하드웨어
4.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 얻기
5. 안전을 위한 고려사항
6. 설정 프로그램의 시작하기
7. X 환경에서 마우스의 설정
8. 비디오카드의 설정
9. 모니터의 설정
10. 설정을 테스트하기
11. 팁으로 자신만의 환경만들기
12. 설정상의 문제점 고치기
13. 필요한 정보가 있는곳

위와 같이 하는 것이 X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준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슬랙웨어 3.5와 레드햇 5.1에는 각각의 것만의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각 단계에서 구별을 하여 설명할 것이다.

  1. X 윈도우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이 내용은 X 윈도우 시스템, XFree86 버전 3.3.2-2에 대한 설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것은 현재 레드햇 5.1과 슬랙웨어 3.5에 포함된 버전입니다. 만약 XFree86의 다른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비록 많은 부분이 여기서 설명하는 것과 유사하겠지만 차이가 날지도 모릅니다.
    Windows 기반의 시스템과는 다르게 X 윈도우 시스템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X 서버와 윈도우 매니저라는 구성요소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X 서버는 하드웨어와 윈도우 매니저사이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것을 Windows의 “video driver” 라고 이야기한다면 비슷하지만 다소 애매한 점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요청에 대한 서비스가 추가되어 있기 때문이죠. 이것은 몇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비에 대한 로컬이나 또는 리모트로부터의 모든 X 연결을 관리하는 것도 차이가 나는 점들 중에 한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닉스나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잇점중에 하나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점 입니다.

    유닉스나 리눅스 시스템은 로컬에서는 TTY 연결이나 가상 터미널을 사용하고 리모트에서는 여러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에 기초를 두고 많은 사용자들의 호스트로서의 서비스를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모트 X 세션에 대한 개념에 대한 사항은 Linux Gazette 9월호의 필자의 기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X 서버의 다양한 기능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최종사용자에게는 기능상으로 투명하게 보인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서 굉장히 부지런한 조그만 비버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X 윈도우 시스템의 두 번째 구성요소는 윈도우 매니저입니다. 이것은 GUI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X 시스템의 한 부분입니다. 윈도우 매니저는 사용자의 책상처럼 보이고 느끼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실행되는 명령어나 프로그램에 대한 가장 전면에 보이는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입니다.

    리눅스에는 많은 윈도우 매니저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필요와 기호에 맞는 것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슬랙웨어와 레드햇 두 배포본 모두 FVWM95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이 윈도우 매니저에 국한되어 설명을 하게 될 것입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리소스 부분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 지원되는 하드웨어

    비디오 카드

    (다음 사항은 XFree86 3.3.2 문서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문서는 /var/X11R6/lib/docs/README에서 볼 수 있습니다.

    XFree86 3.3.2가 지원하는 칩셋은 다음과 같습니다.

    Ark LogicARK1000PV, ARK1000VL, ARK2000PV, ARK2000MT AllianceAP6422, AT24 ATI18800, 18800-1, 28800-2, 28800-4, 28800-5, 28800-6, 68800-3, 68800-6, 68800AX, 68800LX, 88800GX-C, 88800GX-D, 88800GX-E, 88800GX-F, 88800CX, 264CT, 264ET, 264VT, 264GT, 264VT-B, 264VT3, 264GT-B, 264GT3 (this list includes the Mach8, Mach32, Mach64, 3D Rage, 3D Rage II and 3D Rage Pro) Avance LogicALG2101, ALG2228, ALG2301, ALG2302, ALG2308, ALG2401 Chips & Technologies65520, 65530, 65540, 65545, 65520, 65530, 65540, 65545, 65546, 65548, 65550, 65554, 65555, 68554, 64200, 64300 Cirrus LogicCLGD5420, CLGD5422, CLGD5424, CLGD5426, CLGD5428, CLGD5429, CLGD5430, CLGD5434, CLGD5436, CLGD5440, CLGD5446, CLGD5462, CLGD5464, CLGD5465, CLGD5480, CLGD6205, CLGD6215, CLGD6225, CLGD6235, CLGD6410, CLGD6412, CLGD6420, CLGD6440, CLGD7541(*), CLGD7543(*), CLGD7548(*), CLGD755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TGA CompaqAVGA GenoaGVGA IBM8514/A (and true clones), XGA-2 IITAGX-014, AGX-015, AGX-016 MatroxMGA2064W (Millennium), MGA1064SG (Mystique and Mystique 220), MGA2164W (Millennium II PCI and AGP) MXMX68000(*), MX680010(*) NCR77C22(*), 77C22E(*), 77C22E+(*) Number NineI128 (series I and II), Revolution 3D (T2R) NVidia/SGS ThomsonNV1, STG2000, RIVA128 OAKOTI067, OTI077, OTI087 RealTekRTG3106(*) S386C911, 86C924, 86C801, 86C805, 86C805i, 86C928, 86C864, 86C964, 86C732, 86C764, 86C765, 86C767, 86C775, 86C785, 86C868, 86C968, 86C325, 86C357, 86C375, 86C375, 86C385, 86C988, 86CM65, 86C260 SiS86C201, 86C202, 86C205 TsengET3000, ET4000AX, ET4000/W32, ET4000/W32i, ET4000/W32p, ET6000, ET6100 TridentTVGA8800CS, TVGA8900B, TVGA8900C, TVGA8900CL, TVGA9000, TVGA9000i, TVGA9100B, TVGA9200CXR, Cyber9320(*), TVGA9400CXi, TVGA9420, TGUI9420DGi, TGUI9430DGi, TGUI9440AGi, TGUI9660XGi, TGUI9680, Pro- Vidia 9682, ProVidia 9685(*), Cyber 9382, Cyber 9385, Cyber 9388, 3DImage975(PCI), 3DImage985(AGP), Cyber 9397, Cyber 9520 Video 7/Headland TechnologiesHT216-32(*) WeitekP9000 Western Digital/ParadisePVGA1 Western DigitalWD90C00, WD90C10, WD90C11, WD90C24, WD90C24A, WD90C30, WD90C31, WD90C33

    위의 모든 칩셋들은 256색과 모노와 16색을 지원하고 일부는 더 많은 색을 지원합니다.

    특정칩셋에 대한 README 파일들도 있다. 현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TGA, Matrox, Mach32, Mach64, NVidia, Oak, P9000, S3 (ViRGE 제외), S3 ViRGE, SiS, Video7, Western Digital, Tseng (W32), Tseng (모두), AGX/XGA, ARK, ATI (SVGA 서버), Chips and Technologies, Cirrus, Trident
    이것들은 해당 칩셋의 사용에 대한 좀 더 깊이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모노 서버는 단일뱅크를 사용하는 64k의 비디오메모리가 있는 일반적인 VGA 카드를 지원한다. 이러한 것들은 Hercules monochrome 카드, Hyundai HGC1280, Sigma LaserView, Visa and Appollo monochrome 카드 등입니다.

    VGA16 서버는 ET4000, Trident, ATI, NCR, OAK와 Cirrus 6420 칩셋에서 지원하고 가상 화면의 크기는 최대 1600x1200(1MB 비디오메모리에서)까지 지원합니다. 다른 칩셋들은 화면의 크기는 대략 800x600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주의사항 : Diamond SpeedStar 24 (일부 SpeedStar+) 보드는 비록 ET4000을 사용하지만 지원되지 않습니다.
    Weit다 9100과 9130 칩셋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Diamond Viper Pro와 Viper SE 보드에서 이 칩셋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Diamond 보드는 XFree86의 최신버전에서 잘 작동합니다. Diamond가 XFree86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DLabs GLINT, Permedia 그리고 Permedia 2에 대한 지원은 불행히도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것들은 대부분 X 프로젝트에 필요한 문서가 제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모니터

    기본적으로는 VGA나 또는 SVGA 해상도를 가지는 문서상의 어떠한 모니터라도 호환이 되어야만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다음의 모니터들이 명시적으로 지원된다.

    마우스

    Microsoft Standard mouse MouseSystems MMSeries Logitech MouseMan MMHitTab GlidePoint Intellimouse ThinkingMouse BusMouse PS/2 Auto IMPS/2 ThinkingMousePS/2 MouseManPS/2 GlidePointPS/2 NetMousePS/2 NetScrollPS/2

  3. 지원되지 않는 하드웨어

    만약 X 가 당신의 비디오 카드나 모니터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모든 것이 안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와 최대한 비슷한 “generic” 카드와 모니터를 선택해보기 바란다. SVGA 서버는 지원되는 그래픽 카드가 아닐 때 사용해 볼만한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가능성 있는 선택사항은 VGA16 서버입니다. 대부분 어떠한 카드라도 이 두 서버중에 하나는 수행될 것입니다. 물론 성능은 둘째문제죠. 다른 가능한 선택사항은 “상업용” X 서버를 구입하는 것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곳이 두 군데가 있습니다.
    MetroX http://www.metrolink.com/
    XInside http://www.xinside.com/

    상업용 서버는 다양한 카드와 모니터를 지원합니다. 왜냐하면 일부 하드웨어 제조업체의 비공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X 서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일부 그래픽 카드 제조업체는 공개소프트웨어 제작자들과 작업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음에 비디오카드를 구입하려고 한다면 이러한 것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픽 카드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VGA나 SVGA 모니터는 최소한 작동은 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성능을 넘어선 동작을 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전자업계에서 “연기검사(smoke test)” 라고 불리는 것이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유감스런일로서 여러분의 집은 연기 검출기가 작동될 뿐만 아니라 냄새로 가득차게 될 것입니다.

  4.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여러분의 비디오 카드와 모니터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것은 아느냐 하는 것은 중요한 것입니다. (최소한 여러분이 매뉴얼이나 문서는 가지고 있지 않다면 더욱 더 그러할 것이다.)
    만약 문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var/X11R6/lib/docs에서 여러 가지 문서들을 점검해보거나 인터넷을 검색해 보기 바랍니다. 다른 가능한 방법은 직접 제조업체의 웹싸이트를 방문해 보는 것입니다.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곳에서 사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부 모니터에 대해서는 마지막 선택 사항이 있는데 synch 비율이 때때로 모델 번호와 그 외 다른 정보들과 함께 모니터 뒷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여러분의 카드와 모니터가 지원되는 하드웨어 리스트에 있는지를 꼭 확인하기 바랍니다. 이것은 성공의 가능을 높이고 기도하는 시간을 줄이게 될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여러분의 비디오 카드의 사양이 가속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최소한 다음의 정보는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비디오카드의 제조업체와 모델과 메모리의 양이 그것이죠. 예를들면 Matrox Millenium 8MB 와 같은 것입니다.

    모니터의 제조업체와 모델도 필요합니다. 즉 예를 들면 Viewsonic 15E와 같은 것입니다. 그리고 수평 주파수율(예를들면 31.5-82.0)과 수직 주파수율(예를들면 40-100)도 마찬가지로 알아야 합니다.

    마우스에 대한 사항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세 버튼 마우스를 구하도록 합니다. X는 중간버튼을 특별한 기능을 위해서 사용합니다. 두 버튼 마우스에서도 세 버튼 마우스를 흉내냄으로써 이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데 보통은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것으로 중간버튼의 기능을 만들어 냅니다.

    PS/2 마우스 사용자들에게는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PS/2 마우스를 X에서 사용할 때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대부분 gpm 프로그램과의 충돌이 있는 경우인데 보통 이 프로그램은 부팅할 때 실행시키는데 이것으로 인해 X가 실행이 안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만한 시작 파일의 다양한 스위치나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꼭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문제가 해결될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부팅할때 gpm을 시작 하지 않음으로써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슬랙웨어에서는 /etc/rc.d/rc.local 파일에서 다음라인을 주석처리 함으로써 실행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 echo starting gpm # gpm /dev/mouse

    만약 텍스트 모드에서 gpm이 필요하면 단순히 gpm <return> 라고 입력하면 수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레드햇에서는 명령행에서 단순히 setup <return> 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설정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입니다. 여기에서 ntsysv를 선택합니다. 여기에서 gpm을 선택하고 스페이스바로 별표(*)를 지운후에 빠져나오면 됩니다. 이러면 부팅시 실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5. 안전을 위한 고려사항

    비록 X 윈도우 시스템이 무한한 유연성과 설정이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매우 까다로운 것입니다.
    유닉스나 또는 리눅스가 Windows는 실행될지도 모르는 최소한의 하드웨어에서 실행되지는 않는 것처럼 X도 최소한이나 또는 비슷한 형태의 비디오카드나 모니터에서도 실행될 수 있지만 되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X에 대한 설정을 일일이 수동으로 할 수 도 있지만 그렇게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클럭 설정을 바꾸는 작업이라든지 카드와 모니터를 선택한다든지 수평이나 또는 수직 synch율을 임으로 설정하는 것 등은 여러분의 비디오카드와 모니터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상의 선택사항이고 추천하고 싶은 것은 여러분의 비디오 카드와 모니터가 명시적으로 지원되는지 확인하고 그것으로 X 설정을 한 후에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를 가진 분들에게는 몇가지 방법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꼭 성공한 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단지 이러한 방법이 여러분의 하드웨어에 손상을 입히지는 않는다는 것은 확언할 수 있습니다.

  6. 설정프로그램을 시작하기

    X를 사용하기 전에 설정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은 비디오 카드, 모니터 마우스 등과 그 외 X 환경을 초기화 하고 X를 기동시키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참고사항을 X에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루트 사용자로 해야합니다. 각각의 사용자마다 유일한 X 설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방법과 프로그램은 사용하는 리눅스에 따라 다릅니다.


    주의사항 : 다음의 사항은 XFree86 3.3.2-2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MetroX나 XInside와 같은 상업용 X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면 설정방법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해당 제품의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7. X에서 마우스의 설정
  8. 비디오카드의 설정
  9. 모니터 설정
  10. 설정을 테스트하기

    명령행에서 startx라고 입력합니다. 만약 잘 되었다면 설정대로 나타날 것입니다. 어떠한 이유로 X가 기동에 실패했다면 다시 돌아올 것이고 설정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켜서 적당한 설정으로 변경합니다.

  11. 팁으로 자신만의 설정을 만들기

    슬랙웨어나 레드햇이나 기본적으로 FVWM95로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아마 이미 익숙해진 Windows 환경의 사용자가 쉽게 이전할 수 있도록 한 좋은 방법입니다.
    X는 무한하게 설정이 가능하고 숨겨진 놀라운 기능이 많기 때문에 모든 설정에 대한 선택사항을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관심을 가질만한 몇가지 사항을 들어보겠습니다.

    X 데스크탑에 대한 몇가지 사항

    X는 가상 데스크탑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모니터의 실제 해상도보다 더 큰 데스크탑 영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카드의 해상도가 1024x768 32bit 색깔을 지원한다고 했을 때 X는 1280x1024의 가상 데스크탑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싫어 하는 사람도 있지만 말입니다. 만약 이것을 불가능하게 하려면 XF86Config 파일에서 Screen sections의 Virtual 1280 1024 라고 되어 있는 항목을 찾아서 1024 768로 고치면 됩니다. 유사하게 그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해당 부분을 찾아서 이 예에서 처럼 1280 1024식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변경하면 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 매니저인 FVWM95와 같은 것에서는 다양한 설정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것들은 경험으로 최상의 것을 발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배포본에 따라서 다른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다른 윈도우 매니저가 가능하다면 자신에게 최상으로 맞는 것을 찾아보기 바랍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Afterstep를 사용하는데 추가적인 다른 윈도우 매니저 하나 없이 지내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슬랙웨어의 FVWM95에서는 Start 메뉴의 Exit Fvwm95를 선택하고 원하는 윈도우 매니저를 선택하면 됩니다. 레드햇에서는 Start 메뉴에서 Preferences/WM Style를 다른 윈도우 매니저로 변경하면 됩니다.

    간단한 X 트릭

    X 세션을 시작하는데는 startx를 입력하면 됩니다.
    만약 X 서버를 640x480, 800x600, 1024x768 중에 한가지로 X 서버를 구성시켜 놓았다면 그리고 서로 다른 해상도 사이를 바꾸고 싶다면 단순히 Ctrl+Alt+더하기 기호(+) 또는 마이너스기호(-)를 누릅니다. 왜 이렇게 하기를 바라십니까? 필자는 자주 웹 디자인을 하는데 서로 다른 해상도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알고 싶어하는 경우에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더군요.
    X 세션을 끝내기 위해서는 각각의 윈도우 매니저에서 적당한 메뉴에서 exit를 선택해도 되지만 Ctrl+Alt+Backspace를 눌러도 됩니다.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설정을 하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서 .xinitrc 파일을 사용합니다. 보통은 이러한 방식은 슬랙웨어에서 필요한 일이고 레드햇에서도 이렇게 할 것입니다. 해당 문서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12. 설정에 대한 문제 해결

    기본적으로 X 설정에 잘못될 경우가 몇 가지 있습니다. X 서버가 아예 작동하지 않거나 검은색 화면으로 작동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X가 잘 시작한 경우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화면의 크기가 적당치 않거나 깜빡이거나 또는 화면의 내용을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X 서버가 시작했지만 화면에 부적절한 크기를 가지거나 심하게 깜빡이거나 한다면 수평이나 수직 sync 율을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만약 이상한 줄들이나 또는 픽셀들이 번지는 것 때문에 화면이 읽을 수 없게 나타난다면 카드와 모니터 설정을 다시 확인해 봐야 합니다.

    적절하지 않는 카드와 모니터의 설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은 추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필자가 명시적으로 지원하거나 최소한 “일반적인” 설정으로 실행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사용하라고 권하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것들로 해결이 불가능하다면 특정한 카드, 특정한 모니터,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것에 대해서 문서를 확인해 봐야합니다.

    다른 가능한 선택은 뉴스그룹에서 자신과 비슷한 문제에 대해서 검색해 보는 것입니다.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만약 이것도 실패했다면 나에게 e-mail로 도움을 청하기 바랍니다.

  13.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XFree86 관련자료

    http://www.xfree86.org/
    http://sunsite.unc.edu/LDP/

    윈도우 매니저

    http://www.gaijin.com/X/
    http://www.afterstep.org/
    http://www.pconline.com/~erc/xwm.htm
    http://www.PliG.org/xwinman/

저자의 홈페이지와 E-mai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홈페이지 : http://home.unicom.net/~rjenkins/
E-mail : rjenkins@unico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