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모뎀에 관하여
번역 : 배철수<bae@linuxlab.co.kr>
역자 주]
이 글은 Curt’s High Speed Modem Page 를 기초로 하였습니다.
이글은 리눅스 월드 '99년 2월 및 3월에 실려있습니다.
나는 여러분들을 개인적으로 돕고 싶지만 많은 도움 요청이 있어 일일이 답변할 수 없다. 따라서 도움이 필요하면 뉴스 그룹 comp.dcom.modems 을 참고하기 바라며 거기에서 여러분의 상황을 찾을 수 없으면 조언을 요청하는 기사를 올리기 바란다.
기사를 올릴때는 예의를 갖추고 문제점을 자세히 나열하고 시스템 구성을 자세히 실어야하며 다른 사람의 눈에 뛰게 제목을 잘 골라야 한다.
만약 당신이 피시를 갖고 있고 28.8k 33.6k 56k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SLIP 또는 PPP로 연결할 예정이면 이 글은 큰 도움이 된다. 이 글의 중점은 28.8k 33.6k 56k모뎀에 대한 것이지만 14400 모뎀에도 도움이 된다.
이글은 여러분이 필요한 모뎀을 고르고 모뎀을 셋업하고 윈3.1이나 윈95에서 어떻게 잘 사용하는 지를 알려준다. 여기에는 일반 사용자 뿐아니라 전문 사용자들에게도 필요한 정보가 많이 있다. 여기에는 모뎀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정보나 모뎀의 작동 원리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MODEM이란 단어는 Modulator-DEModulator 의 약어이다. 모뎀은 피시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화선에 싣도록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또 역으로 아날로그 전화선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어 피시에 전달한다.
28800 또는 33600bps 모뎀은 2400 bps 모뎀보다 14배 이상의 속도로 그리고 56k 모뎀은 20배 이상의 속도로 전송한다. 게다가 모뎀은 보통 텍스트 데이터는 2배 그리고 최대 4배까지 압축을 해주므로 2400bps 모뎀보다 거의 25 내지 50배의 속도이다. 이 엄청난 속도는 여러분의 전송시간을 단축하여 주고 전화요금을 절약해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WEB 같은 그래픽 데이터를 보는 데 별 지장이 없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빠른 속도는 피시 사용자들에게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win3.1 이나 win95 사용자들에게 그렇다. 부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정은 윈도우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게 만들어 데이터의 멸실이나 재전송을 야기한다. 이 페이지를 참고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하므로서 데이터 오버런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최초의 V.34 표준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프로토콜이었지만
개선된 V.34 표준은 공식적으로 성립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새 V.34 표준은
이름은 같으나 33.6k 와 31.2k 속도를 추가하였다.
1997년 봄에 모뎀 생산자들은
당신의 ISP가 디지털 라인을 갖추고 디지털 장비를 사용하면 56k 속도로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모뎀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 당시엔 56k 에대한 표준이
없었고 호환되지않는 두개의 모뎀이 있었다. 그러나 1998년 2월 5일 56k 모뎀
표준안이 ITU에의해 결정되었고 V.90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것은 좋은 소식이다.
왜냐하면 앞으로 모든 56k 모뎀은 상호 호환되기 때문이다.
28.8 혹은 33.6k 모뎀은 이상적인 전화선 상태에서 28,800 또는 33,600bps(bit per second)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그리고 56k( X2, K56, 혹은 V.90) 모뎀은 전송시는 33.6k 그리고 수신시는 50k bps (다소의 오차가 있다) 속도로 데이터를 받는다. 이 모뎀들은 모두 데이터 압축을 지원하므로 압축이 가능한 파일 들은 위의 속도의 2배 이상 전송속도를 낸다.
최초의 V.34 표준은 1995년 봄에 발표되었고 28.8k 속도를 지원하였다. V.34 표준의 개선안은 1996년 가을에 발표되어 31.2k와 33.6k 속도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그 속도는 선택사항이었고 모뎀 접속시 두 모뎀간의 핸드쉐이킹 과정에서 유효화 된다.
AT&T Penril, Zypcom, Motorola가 처음으로
33.6k 모뎀을 생산하였으나 고가 모델에만 해당되었다. USR이 곧 이 대열에 합류하여
저가형인 V.34 Courier 모델과 일부 Sportster 모델에 채택하였고 다른 생산자들도
뒤를 따랐다. 28.8k 모뎀을 갖고 있는 사용자들은 구태여 33.6k 로 바꾸기보다는
바로 V.90 56k 모뎀을 사용하는게 낫다.만약 33.6k 로 업그레이드하려면 우선
연결해주는 측이 33.6k를 지원하는지를 확인하라.
즉 ISP가 33.6k를 지원하든가
또는 56k를 지원해야 당신은 33.6k 모뎀으로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있는것이다
현재의 28.8k 모뎀 표준은 V.34이다 그러나 V.34 이전에는 V.FC라 불리는 다른 28.8k 표준이 있었다. V.FC는 Rockwell에 의해 개발된 일시적인 표준이었다. 비록 상당수 모뎀이 V.FC를 지원하지만 V.34가 보다 강력하다. 만약 V.FC 만을 지원하는 중고 모뎀을 구입하면 상당수의 ISP나 BBS에 연결할 수 없다. 만약 당신이 여러 모뎀들과 통신을 하면서 V.34 모뎀을 구입한다면 V.FC를 지원하는지도 확인하라. V.34 표준은 도구 상자와 비슷하다. 생산자는 자기가 원하는 부분만 선택할 수 있다. 싸구려 모뎀은 옵션 중 상당 부분을 채택하지 않는다. 에를들면 상당수 모뎀은 비대칭 송수신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V.34 표준은 성숙되고 안정되어 별로 말썽을 부리지 않으므로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V.34 표준 모뎀을 플라쉬롬에 설치하는건 큰 중요성은 없다. 물론 그렇게하면 바람직하긴 하다. 그러나 56k V.90 표준은 아직 완전하지 못하므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나 기능 추가, 버그 수정등이 자주 필요하므로 56k 모뎀의 펌웨어를 쉽게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건 중요하다. 당신의 모뎀이 플래쉬롬을 쓰든 아니든 당신이 싸구려나 이름없는 모뎀을 산다면 어떤 형태의 지원을 받는건 거의 불가능하다. 유명한 모뎀 업체의 경우 대부분 전화나 BBS , Web, 또는 FTP 사이트 등으로 사용자에게 지원을 하고 있다.
당신은 이미 전화선에서 56k를 지원하는 모뎀을
쓰고 있거나 들었을 것이다. USR과 Rockwell이 1996년에 각각 ISP로부터 56k
속도로 다운 받을 수 있는 모뎀을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이 제품들은
1997년 봄부터 시장에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USR의 X2와 Rockwell의 K56 기술은
상호 호환성이 없다는걸 알아야한다. 그리고 어느 쪽이든 56k 속도는 내려받기에서만
가능하다. 올리기에서는 28.8이나 33.6k 속도만 가능하다.
이기술을 쓰려면
ISP는 디지털 회선을 설치해서 이를 지원하는 특수한 모뎀을 써야하고 당신은
그 업체에서 사용하는것과 일치되는 표준을 사용하는 모뎀을 써야한다.
이 56k 모뎀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간단히말해 당신의 ISP는 전화회사에서 디지털라인을 끌어와야한다. (많은 회선을 쓰는 ISP라면 광케이블을 설치할것이다) 그리고서 특수한 56k 디지털 모뎀을 설치한다. 디지털 연결을 사용하므로 ISP측에서는 디지털 ->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 변화과정에서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이 고속 전송 표준을 지원하는 모뎀을 설치하면 560000bps 속도로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측은 아직 디지털 장비가 아니므로 올리기에서는 33.6k 까지만 가능하다.
이모뎀은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가? 이 기술은 이론상 다운 로드시 56k까지 속도를 낼 수 있지만 현재의 FCC (미국의 전화를 관장하는 기관)는 모뎀의 신호 강도를 제한하고 있어 그 정도의 속도까지 낼 수는 없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화선의 상태이다. 따라서 낡은 전화선을 사용하며는 56k 모뎀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다. 상태가 좋은 선로를 갖고있는 사용자들로부터는 내려받기에서 40kbps 또는 50kbps 이상의 속도를 기록한 경우도 있다고 들었다.
1998년 2월까지 56k 기술에 대한 표준은 없었다. 두 56k 모뎀 보유자는 치열한 시장 쟁탈전을 벌였다. 큰 모뎀 업체와 통신 회사는 이 둘 중 한편을 따랐다. 1997년 중반까지는 누가 승리할지는 예측 불허였다. 사용자는 어느쪽을 선택할지를 망설였다. 그러나 3COM이 USR을 합병함에따라 상황이 달라졌다. 3COM은 Rockwell의 56k 기술을 지지하였으므로 3COM/USR 은 Rockwell의 K56 기술을 지원하게되었다. 그리고 표준위원회에서 56K 표준이 채택되면 자신의 X2 기술도 이를 지원할것을 약속했다. 3Com의 K56 지지는 ITU 에서 둘의 기술적 차이를 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ITU는 1998년 2월 5일 표준이 확정되었다고 발표하였고 V.90으로 이름 지어졌다. 표준이 확정된 2주 후 3Com은 V.90 ITU 56k 표준 모뎀이 이미 생산라인을 떠나 트럭에 실리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많은 사람들의 예측과 달리 V.90 표준이 일찍 제정된건 사용자들 및 ISP들에게는 큰 다행이었다. 표준이 없으면 사용자는 어느 모델을 사야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ISP 들도 어느 기술에 투자할지를 결정할 수가 없다. 거대 ISP들이 소규모 ISP들의 위치를 크게 위협하고 있어 ISP들은 56k 기술을 채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그렇다고 그릇된 투자를 결정할 수는 없어서 기존 사용자를 놓치지 않고 신규 사용자를 유인하기위해 양쪽 기술을 모두 지원할 수 밖에 없었다. 다른 일부는 오직 표준이 나오기만을 기다리는 형편이었다.
만약 56k 속도를 위해서라면 어느 모델을
살지 결정하지 마라. 우선 당신의 ISP가 어느 기술(X2, K56)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라. 이제 56k 표준(V.90)이 나왔으므로 당신의 ISP는 궁극적으로
K56 이나 X2가 아닌 V.90 용 장비를 설치할것이다. 그때까지는 56k를 필요로한다면
현재 당신의 ISP가 지원하는 모델을 선택해야한다. 또는 당신이 원하는 모델을
지원하는 ISP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많은 ISP들은 이 두가지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또는 새로운 V.90 표준을 채택한 모뎀을 살 수도 있다. 또는 새로운
표준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는 모뎀을 살수 도 있다. 많은 ISP들이 궁극적으로
56k를 지원하겠지만 아직은 시간을 요한다.
하지만 새로이 56k를 설치하는
ISP의 경우는 당연히 V.90을 지원하므로 당신은 모뎀 선택에서 걱정할 필요가
없다.만약 56k 표준을 기다릴 수 없다면 무료로 또는 적은 비용으로 V.90
표준으로 업그레이드해주는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외장 56k 모뎀을 구입한다면 당신의 전송속도는 피시의 시리얼 포트 속도에 의해 제한을 받을 수도 있다. 모뎀의 데이터 압축에따라 다운로드 데이터는 피시의 시리얼포트의 최대 속도인 115200bps를 초과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건 큰 문제는 아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압축 가능한 파일들은 압축률이 2:1 정도이다. 그리고 56k 모뎀의 선로속도는 40k 내지 50k 이므로 데이터 전송량은 80k 내지 100k 정도이며 이는 피시의 시리얼포트 최대속도인 115200bps를 넘지 않는다.
어느 모뎀을 살것인가? 많은 제품들이 나와있다. 어느 모델을 살지를 알려줄 수 없지만 여기에 선택에 도움이 되는 기준을 제시한다.
현재까지 내가 가장 흔히 받는 질문은 “어디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나요?”이다.
이런 질문은 내게 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생산자가 온라인 지원을 제공하고 제품에 대한 업데이트
드라이버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업체의 제품을 구입하길 권한다.
포레스트검프에 나오는 이 귀절을 기억하는가? “어머니는 인생은 값싼 모뎀과 같다고 항상 말씀하셨다. 당신이 연결을 시도하기 전까지는 결코 알수 없다”
따라서 몇푼의 돈을 아끼기위해 싸구려 모뎀을 산다는건 좋지않다. 장기적으로는 당신에게 매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모뎀을 셋팅하기위해 소모하는 낭비나 낮은 속도로 인한 시간 손실 또는 재전송이나 전송이 끊겨 다시 받는 등의 불편함을 생각할 때 모뎀에 절약할 이유가 없다.
이렇게하면 기술지원이나 장래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등에서 유리하다. 팔거나 업그레이드시도 유리하다. 이름없는
모델을 산다면 지원이나 업데이트를 받기도 어렵다. 큰 회사가 판다고 항상
지원이 잘 되는건 아니다.
최근 한 고객이 말하길 “ 나는 ATT 모뎀을
샀는데 그 모뎀을 ATT의 worldnet 서비스에서 지원을 하지않아 다른 ISP를
선택해야한다고” 모토롤라는 최근 모뎀 사업을 중단했다. 이는 모뎀을 사되
모뎀 생산만을 주력으로 하는 업체의 제품을 고르라는 뜻이다.
만약 모뎀에 대한 지식이 없어 어느 모델을 고를지 알수 없으면 그 모뎀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이를 반환해주는 점포에서 구입하라.
많은 사람이 모뎀의 칩셋에대해 질문한다. 일반적으로 저가형 모뎀의 대부분은 Rockwell 칩셋을 쓴다.(일부는 AT&T 칩셋을 쓴다) 이유는 모뎀업체는 그냥 이 칩셋을 기판에 얹기만 하면 바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 칩셋은 다른 고급제품에도 사용된다.(Supra, Cardinal, Microcom 등) 이들 제품들은 생산자들이 Rockwell의 콘트롤 코드에 상당한 수정과 추가를 했으며 기능을 덧붙였다. 예를들면 Supra의 송수신 비대칭, 플래시롬, 속도 표시, 발신자 확인 등이다. 대부분의 고급 모델들은 자신의 칩셋이나 Rockwell이 아닌 다른 고가의 칩셋을 쓴다.(USR, Multitech, Motorola, AT&T, 등 등)
당신이 사려는 모뎀이 어느 칩셋을 썼는지는 박스나 매뉴얼에서 확인하라. 만약 내장모뎀이라면 상당히 큰 칩에서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당신이 자주 연결하는 모뎀에서 사용하는 칩셋과 유사한 모델을 고르길 권한다. 예를들어 당신의 ISP가 Microcom 모뎀을 갖고 있다면 고 품질의 Rockwell 칩셋을 사용하는 모뎀이 말썽없이 잘 연결된다. Supra는 이 칩셋을 쓰므로 좋은 선택이다. 반면 값싼 At&T 칩을 쓴 모뎀은 Microcom과 연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결코 칩셋이 다르면 연결이 안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표준이 성숙함에따라 모뎀 브랜드간의 호환성은 상당히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호환성 문제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대부분의 모뎀 생산자들은 제어 펌웨어를 ROM에 넣는다. 따라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려면 소켓을 갈아 끼워야 한다. 펌웨어의 다른 부분인 데이터펌프(아날로그 시그널을 엔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부분)는 데이터 펌프 칩에 직접 새겨진다. 즉 그리고 모뎀보드에 용접하여진다. 데이터펌프는 따라서 공장에서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일부 업체 예를들면 USR은 제어 부분과 데이터펌프 부분 모두를 롬 소켓에 넣으므로 양쪽을 모두 갈아끼울 수 있다.
만약 생산자가 펌웨어를 플래시롬에 넣으면 업그레이드는 더욱 쉬워진다. 당신은 BBS나 FTP 사이트에서 업그레이드를 다운받으면 된다. Supra와 다른 대부분의 고급 모뎀 업체들은 제어 부분만을 이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하는걸 지원한다. 일부 고급 모뎀은 제어부분과 데이터펌프 모두를 플래시롬에 넣는다. USR의 courier 모뎀은 좋은 예이다. (나는 내 courier 모뎀을 28.8에서 33.6으로 다시 56k로 플래시롬을 업그레이드하였다. 물론 비용은 들지 않았다.) Courier 모뎀은 데이터펌프도 플래시롬에 넣으므로 모뎀 업그레이드시는 플래시롬 프로그램만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그런데 새로운 3com/USR X2 모뎀은 모두 플래시롬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3Com은 대부분의 US 및 캐나다 지역에 최종적인 표준이 완성되면 무료로 업그레이드하겠다고 약속했다.
펌웨어에 데이터펌프를 갖고있는 대부분의 모뎀은 공장에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그러나 Supra는 비록 데이터펌프가 플래시롬에 없어도 Supra 288 Data/Fax 모뎀을 33.6k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위에 언급한것처럼 여러 칩셋과 모뎀 생산자들은 펌웨어를 개선해서 호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Supra는 이점에서 책임있는 전략을 펴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해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Supra 사용자들은 Supra FTP 사이트로부터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있으므로 많은 이득을 얻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모뎀을 만든 업체에 관해 알고자 한다. 정확한 생산자를 아는건 중요하지 않다. 대부분의 모뎀에서 중요한 명령은 같다. 만약 win3.1 사용자라면 특별한 모뎀 드라이버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많은 싼 모뎀들은 보드에 칩셋을 넣은것에 불과하다. 칩셋 이름은 모뎀 보드의 가장 큰 칩에 쓰여있다. 또는 터미널 프로그램을 써서 ATI 명령(ATI1, ATI2, ATI3, 등)으로 발견할 수 있다. ATI 명령 중 하나가 모뎀 ID나 칩셋 ID를 알려준다.(Rockwell 칩셋의 ID는 R로 시작한다.) 만약 당신이 win95 사용자라면 칩셋 이름을 알면 생산자의 웹사이트에서 드라이버를 찾을 수 있다.
여기 모뎀 생산자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있다. 대부분의 모뎀에는 FCC 넘버가 인쇄되어 있다. 그 번호를 FCC ID Code 의 홈페이지에 입력하면 모뎀 생산자의 이름을 알수 있다. 그 이름으로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생산자를 찾을 수 있다.
당신은 모뎀이 아날로그 장비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모든 전화 연결은 당신의 지역 전화국부터 디지털로 전환되어 당신의 상대방 거주 지역 전화국까지는 디지털로 이어진다. 즉 컴퓨터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로 시작해서 모뎀에서 아날로그로 바뀌어 전화국으로 보내진다. 전화국은 이를 다시 디지털로 바꾸어 전송하고 상대방 지역 전화국에서 다시 아날로그로 바뀌어 상대 모뎀에 도달한다. 거기에서 다시 디지털로 신호가 바뀌어 컴퓨터로 입력된다. 전이중 V.34 모뎀이라면 무려 여덟번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이 작동한다는게 정말 놀랍다.
그런데 56k 모뎀이 작동하는 원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이다.
아날로그 V.34 모뎀은 현재의 전화 시스템의
대부분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즉 33.6k는 현재의 아날로그 전화망의 속도 한계에
근접해있다. 많은 28.8 또는 33.6 사용자들은 전화 라인 문제로 인해 모뎀의
규정 속도를 낼 수 없다.
다음 세대의 전화망은 디지털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표준은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일 것이다. ISDN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ISDN은 기본적으로 현재의 전화망을 디지털화한것이며 가능한한 현재의 전화망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ISDN 서비스는 2개의 64k 음성/데이터 채널과 한 개의 시그널 채널을 제공한다. 많은 지역에서 ISDN을 제공하지만 비용은 각각 다르다.(미국의 경우) 내 친구 중 하나가 집에 ISDN을 설치했는데 첫달에 475 달라를 지불 했다.
현재 ISDN으로의 전환은 장비 및 비용 문제로 인해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RPI 모뎀이란 특수한 Rockwell 칩을 쓰는 값싼 모뎀으로서 에러 정정과 데이터 압축을 모뎀 하드웨어가 아닌 피시의 소프트웨어에서 맡는 즉 피시의 CPU를 이용하는 모뎀이다. 아직 RPI 기능을 갖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많지 않지만 보통의 통신 프로그램을 RPI 모뎀에서 사용할 수 있게해주는 win3.1 및 win95 용 드라이버가 나와 있다.
1995년 까지 RPI 모뎀은 14400bps였다. 그러나
1995년 10월에 소프트웨어 에러 정정 기능과 데이터압축 기능을 갖는 Rockwell
V.34 칩셋이 나왔다.
피시의 CPU를 데이터압축과 에러 정정 기능에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미래의 추세일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새로운 피시의 계산 능력이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RPI는 제한된 소프트웨어 지원, 성능 문제, 윈도우용
드라이버 부재 그리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모뎀의 기능 일부를 피시가 담당한다는
사전지식을 알수 없어 매우 평판이 안 좋았다. 현재의 윈도우 드라이버는 RPI
모뎀을 보다 가능성 있게 하고 있지만 나는 별로 RPI 모뎀을 추천하고 싶지 않다.
만약 RPI 모뎀을 갖고 있다면 Rockwell 웹사이트에 가서 드라이버와 각종 FAQ를
구하라.
USR은 자신의 WinModem을 다시 들고 나왔다.(그러나
RPI 칩셋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모뎀은 오직 윈도우 환경에서만 작동한다.(패키지에
명시되어있다) 이 모뎀은 많은 기능을 피시의 CPU에서 작용하는 소프트웨어에
의존한다.( 어떤 사람은 이를 소프트웨어 모뎀이라 부른다) 1년전만 해도 나는
이 제품을 멀리하라고 충고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강력한 피시의 능력으로
인해 WinModem은 잘 작동하며 값도 적정하다. 또 이모뎀의 업그레이드는 오직
소프트웨어만을 필요로한다. 물론 특정한 운영체제에서만 작동하는 모뎀을 산다는건
위험이 있지만 모든 작업을 윈도우 환경에서만 한다면, 그리고 피시의 성능이
문제 없고 DOS에서 통신 프로그램을 쓸 일이 없다면 이 모뎀도 시도해 볼 수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케이블 모뎀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있었다. TV 케이블에 연결되어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쓸수 있는 모뎀에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아직은 소수의 케이블 TV 업체만이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케이블 모뎀이 장착되면 대역폭의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몇몇 큰 케이블 TV 업체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디지털 방식의 케이블 모뎀을 고려하고 있다. 어쨌든 케이블모뎀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케이블 모뎀에서 인터넷 연결은 케이블 컴퍼니에의해 좌우되며 서비스 요금도 영향을 미친다. 당신은 우선 케이블 회사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확인해야하며 케이블모뎀의 가격 및 서비스 요금도 알아야한다. 케이블 모뎀 사용자들은 서비스 및 속도에대해 크게 만족한다. 어떤 곳은 요금이 적정하나(월 30달라) 일부는 비싼 편이다. (월 60달라) 더 자세한걸 알려면 Byte 지 기사를 참조하라.(제목은 Break the Bandwidth Barrier이다.)
UART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의 약자다. 모든 시리얼 장비 - 예를 들면 시리얼모뎀 등 - 는 피시와 통신하기위해 UART 칩을 사용하거나 또는 에뮬레이트한다. 외장모뎀은 시리얼케이블로 UART 칩을 사용하는 시리얼포트와 연결된다. 반면 내장모뎀은 보드에 UART에 기초한 시리얼포트를 갖고 있거나 흉내낸다. 시스템이 모뎀을 적절하게 사용하려면 UART에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만약 당신이 구형 피시를 갖고 있으면서 고속 모뎀을 사용하려면 특히 UART에대해 주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UART는 피시의 패러랠 데이터를 시리얼데이타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구실을 한다. 펜티엄 피시가 아닌 상당수의 구형 피시는 8250 또는 16450 UART 를 갖고 있다. 이칩은 28.8/33.6 모뎀의 전송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갖고는 있으나 1글자만을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문제는 많은 윈도우 시스템은 다른 일들에 너무 바빠 다른 글자가 버퍼에 있는 글자를 덮어 쓰기 이전에 그 글자를 가져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른바 오버런(overrun) 또는 CRC 에러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486 또는 펜티엄 피시는 16550 UART를 갖고 있다. 또 고속 내장모뎀은 보드에 16550 UART를 갖고 있다.
16550 UART는 16캐릭터 FIFO(first-in first-out) 버퍼를 갖고 있으며 흐름 제어를 한다. 버퍼가 적은 것 처럼 보일지 모르나 적절히 조정된 시스템에서는 충분하다. 버퍼가 있으므로 16550은 자주 윈도우를 호출할 필요가 없고 도달한 글자를 놓치지않고 데이터 스트림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16550에서도 적절히 조정이 안되있을 경우는 데이터 오버론이 발생할 수 있다.
16550인지의 여부는 도스나 win3.1, Win95의 msd.exe를 실행하면 알수 있다. 주)Win95에서는 msd가 하드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Win95 cd의 \Other\Msd 디렉토리에서 찾을 수 있다. MSD를 실행하기 전에 Win95를 완전히 빠져나와라. (즉 prompt 모드를 말함) 도스 창에서 MSD를 실행하면 이상한 결과가 나올수 있다. MSD에서 당신이 16550 UART를 갖고 있지 않다고 나오면 시리얼포트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해야한다. 당신은 30달라 정도면 16550 UART를 갖는 시리얼포트를 구할 수 있다. 조금 더 주면 당신은 1-2개의 16550 시리얼포트가 있는 멀티펑션 카드를 살수 있다. (많은 멀티펑션 카드는 UART를 내장한 칩을 쓴다) UART가16550인지를 확인하라. 매뉴얼에 나와있지 않으면 세일즈맨의 말을 믿지마라. 새 시리얼포트를 사는 대신 당신은 헌피시의 시리얼카드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소켓에 꼽는 8250 또는 16450칩을 장착한 시리얼카드가 있으면 칩을 뽑고서 16550칩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핀은 상호 호환한다)
내장모뎀은 보드에 UART 또는 그와 동등품을 포함한다. 어떤 생산자들은 실제로 16550UART 를 사용하거나 또는 모방한다. 어떤 제품은 8250, 16450 또는 동등품을 사용하며 오버론을 피하기위해 자체의 버퍼링을 한다.(시리얼포트가 내장되어 있으면 모뎀은 컴퓨터가 가장 최근에 보낸 글자를 처리했는지의 여부를 알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장모뎀은 16550 UART에 연결되어있지 않은 외장모뎀이 보여주는 데이터 오버론 현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즉 유명업체의 내장모뎀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드의 UART 종류를 따질 필요는 없다.
헤이즈나 몇몇 업체는 개량시리얼포트(ESP)를 판다. 보드 상의 메모리 및 버퍼를 위한 별도의 메모리가 있어 데이터오버론을 걱정하지 않고 DTE 스피드를 230k까지 낼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장비를 칭찬한다. 그러나 일부 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OS2, NT, Win95)에서는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16550 UART를 가진 적절히 조정된 시스템은 28.8/33.6 모뎀 사용 환경에서 충분히 적합하므로 당신이 꼭 필요로하는 다른 이유가 없다면 돈을 더 주고 ESP를 살 이유는 없다. 데이터 압축과 DTE 속도에 관해 읽으면 이유를 알 수 있다.
사람들이 모뎀에관해 이야기할 때 당신은 보드(baud), bps(bits per second), bytes, cps(character per second) 란 단어를 들었을것이다. 그 용어를 여기에 좀 더 정확히 정의해 보겠다.
Baud란 단어는 19세기의 프랑스 발명가인 Baudot의 이름을 땄는데 최초에는 모르스 부호를 보내는 전신기의 속도를 지칭했다. 그것은 나중에 회선에서의 초당 신호 변화회수를 의미하게 되었다.
bit는 0또는 1로 표현되는 한 개의 2진데이타를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V.34 모뎀을 28,800 보드(baud) 모뎀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것은 맞지않다. 현재의 고속모뎀은 단순히 신호의 hi/lo 변화 대신 여러 개의 비트 패턴을 의미하는 심볼을 전송한다. 예를들면 V.34 모뎀은 9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심볼을 초당 3200개(현재의 아날로그 라인에서 낼수 있는 최대의 대역임) 씩을 전송하므로서 28,800bps속도를 낸다. 심지어 MS 윈도우나 Trumpet도 포트 스피드를 baud로 틀리게 표시하고 있다. 고속 모뎀의 속도를 표시할때는 보드가 아닌 bps를 사용하는게 맞다.
일반적으로 1바이트(캐릭터)는 8비트이며 비동기 통신에서는 UART에서 스타트 비트 및 스톱 비트가 추가되고 상대편 UART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V.42 에러 제어가 사용되면 스타트 비트 및 스톱 비트는 두 모뎀 사이에서 제거되고 실제 데이터는 동기식으로 전송된다. V.42는 또한 전송된 각각의 캐릭터 블록에대해 에러체크 바이트를 더하고 제거한다.
위의 사항을 기초로 당신은 28000bps/8bits per 캐릭터 = 3500 cps의 전송속도를 기대할 지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는 약간의 오버헤드가 있다. (V.42는 약 5%의 오버헤드를 갖는 HDLC 패킷 프레임잉을 사용한다.) 모든걸 고려할 때 28800bps에서 V.42를 사용한다면 이상적인 조건에서 약 3,300 cps 전송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선로 상태가 좋고, ISP의 운영이 적절하며, 사용량이 많지 않은 경우) 만약 데이터 압축 기능이 지원되고 데이터가 압축가능하다면 훨씬 높은 전송속도가 나온다 이는 데이터의 압축 효율, 선로 상태 등 여러 다른 요소에의해 좌우된다.만약 인터넷에서 다운을 받는다면 당신이 연결된 서버는 여러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지원하고 있을것이다. 당신은 조금씩 시간 배분을 받으므로 또는 시작과 멈춤을 반복하므로 전송은 느려진다. 당신이 사용자가 많은 서버에 연결하면 당신의 고속 모뎀은 차례를 얻기가 힘들다. 즉 모뎀은 일하는 시간보다 기다리는 시간이 더 많다.
내장모뎀은 피시의 버스에 꼽히는 카드이며 자신의 시리얼포트를 갖고 있으며 피시의 전원을 사용한다. 외장 모뎀은 케이스에 들어 있으며 (상업적 버전은 랙 마운트한다) 자신의 전원 공급 장치를 갖고 있고 피시의 시리얼 포트와 시리얼 케이블로 연결 된다.
내장형이냐 외장형이냐는 오히려 개인적 취향에 속한다. 많은 사람은 내장형을 선호한다. 이유는 코드를 필요로 않고 먼지가 끼지 않으며 피시를 옮길 때도 거추장스럽지 않다. UART에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어떤 사람은 외장형 모뎀의 인디케이터가 문제를 추적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내장형으로도 결코 불편을 겪지는 않는다. 즉 스피커나 릴레이의 클릭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장모뎀이 인디케이트 램프를 갖기 원한다면 ModemSta를 설치하라. 이 프로그램은 Ted Johansson에 의해 만들어진 모뎀 대시보드이다. 이는 모뎀의 표시등을 화면에 보여주며 다른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다. Ted 는 ModemSta의 쉐어웨어 버전의 중단을 발표했다. 그러나 당분간은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제한된 기능을 갖는 프리웨어 버전인 ModemSta Lite를 갖고 있다.
모뎀이 다른 모뎀과 연결하는 속도(DCE 스피드)와 모뎀이 피시와 통신하는 속도(DTE 스피드)의 차이를 아는게 중요하다. 현재의 고속모뎀은 데이터 압축 기법을 쓴다. 압축으로 인해 모뎀은 피시에서 받는 데이터 보다 적은 양을 상대 모뎀에 보낸다. 따라서 모뎀이 풀스피드로 가동하도록 모뎀에게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내야한다. 이는 당신이 모뎀이 연결하는 속도보다 더 높게 컴퓨터와 모뎀 사이의 DTE 속도를 지정해야 하는걸 의미한다. 만약 당신이 DTE 속도를 모뎀의 선로속도와 같거나 낮게 지정한다면 당신은 모뎀을 굶주리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즉 모뎀은 피시로부터 데이터를 기다리면서 데이터 대신 공백 비트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송속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한다.
고속 모뎀은 이미 압축되어있는 파일(.zip .gif .jpg 등)은 더 이상 압축할 수 없지만 보통의 텍스트 파일은 2:1 정도로 압축하며 몇몇 스프레드 쉬트나 데이터베이스 파일 같은 듬성듬성한 파일은 4:1까지 압축한다. 많은 사람은 DTE 스피드를 모뎀 속도의 4배로 설정하기를 권한다. 그러나 당신이 많은 듬성듬성한 파일을 전송하지 않는한 이는 전송속도를 감소시키는 오버론이나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28.8/33.6 모뎀에서 가장 좋은 DTE 스피드는 57,600이다.(14400모뎀은 38,400) 피시가 강력하고 2:1 이상의 압축이 가능한 파일을 자주 전송한다면 115,200과 57,600을 번갈아 시험해보라. 56kbs 모뎀이라면 115,200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115,200을 사용한다면 오버런이 실효 전송속도를 낮추고 있는지를 검사하라.
위의 글을 읽었으면 왜 대부분의 경우 ESP 보드에 대한 투자가 별 의미가 없는지 이해할 것이다. 비록 이 포트가 230k의 DTE 속도를 지원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115,200 이나 57,600으로 충분하다. 새로운 56k 모뎀으로 다운 받는 경우는 표준 시리얼 포트에의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는 ESP의 이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나는 ESP보다는 좋은 모뎀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
내장형이냐 외장형이냐에 따라 아래의 지침을 따르라.
많은 사람들이 연결을 시도하거나 연결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문제는 종종 적절한 모뎀 초기화 스트링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모든 모뎀 브랜드나 모델은 조금씩 다른 헤이즈 AT 명령어 세트와 S 레지스터 셋팅을 갖고 있다. 거의 수백 가지의 변화가 있다. 상세한 모뎀 초기화 스트링은 이글의 범위 밖이다. 그러나 모뎀 매뉴얼을 자세히 읽고서 꼭 필요한 스트링만을 초기화에 넣어라. 예를들면 피시에서 Supra를 쓴다면 AT&F2는 많은 사용자에게는 적절한 초기화 스트링이다. USR 모뎀에서는 AT&F1이 거의 통한다. 이 두가지 예는 템플레이트 (한번의 명령으로 불러내는 미리 정의된 모뎀 초기 코드 세트)를 사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모든 모뎀은 다른 통신 환경에서 사용하는 한 두개의 기정 템플레이트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 자신이 정의한 디폴트 스트링을 저장해 준다. 많은 사용자들은 템플레이트를 부르는 초기화스트링을 사용하며 그 기정치의 일부를 자신에 맞게 고치는 명령을 추가한다. 생산자가 집어넣은 디폴트 스트링이 당신에게 맞는지를 알기위해 모뎀 매뉴얼을 읽어보라.
현재 여러 모뎀 브랜드 사이에 연결 문제를 일으킬수 있는 호환성 문제가 존재한다. 호환성 문제는 여러 생산자들이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므로서 상당히 개선되었다. 이 문제는 V.34 표준이 성숙함에따라 꾸준히 개선될 것이다. 초기화 스트링을 바꾸므로서 이 문제가 해결되는수가 있다. USR 모뎀 연결 문제에 관해서는 The Navas FAQ를 참조하라. 이외에도 comp.dcom.modems 뉴스그룹을 참조하라.
우선 당신의 모뎀은 상대 모뎀과 115,200bps로 통신하고 있지는 않다.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은 DCE 스피드(모뎀과 상대모뎀과의 통신속도)가 아닌 DTE 스피드이다. (피시와 모뎀 사이의 속도) 당신이 알고자하는 속도는 두 개의 모뎀이 연결시 상호 협의하여 정한 통신속도인 DCE 속도이다.
모뎀의 CONNECT 메시지에서 DTE 속도가 나오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다. 가장 흔한 경우는 모뎀이 DCE 속도 대신 DTE 속도를 표시하도록
세팅되어 있는 경우이다. SUPRA 모뎀은 Win3x에서 기본적으로 DTE 속도를 표시한다.
디폴트를 바꾸지 않은한 당신은 CONNECT 메시지에서 DCE 스피드를 표시할 수
없다.(예를들면 SUPRA는 초기치에 W2를 넣는다)
DTE 스피드를 표시하는 다른
경우는 WIN95에서 그모뎀에 맞는 .inf 파일을 넣지않은 경우다. .inf 파일은
모뎀이 보내는 모든 CONNECT 메시지를 담고 있다. 최신 모뎀에대해 구형의 inf
파일을 쓴다면 Win95는 DCE 속도에대한 메시지를 파악할 수가 없어서 DTE 스피드를
표시한다. 이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뎀 생산자의 사이트에가서 최신의 .inf 파일을
다운 받은후 이를 win95의 INF 디렉토리에 넣은후 모뎀을 다시 설치하는것이다.
그 모뎀이 무명업체에서 생산해서 지원을 받을 수 없으면 COMP.DCOM.MODEMS 뉴스
그룹을 방문해서 다른 사람들이 .inf 파일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라. 그것도
안된다면 직접 .inf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도 있다.(.inf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다)
만약 모뎀이 26.4kbps나 28.8kbps 속도로 연결되는 경우가 극히 드믈다면 그 원인은 거의 전화선이다. 28.8/33.6 모뎀은 현재의 전화 시스템의 한계까지 대역폭을 쓰고 있다. 28.8k를 얻으려면 전화선의 양 종단까지 선로상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다음 세 문단은 “Of Line noise, The Phone Company, and Your Modem” 이라는 글로서 Supra 사의 Patrick Moore 가 쓴 글인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위의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결코 56k, 28.8k, 심지어는 26.6k 연결을 할 수 없다. 전화선 문제인지 모뎀 문제인지 아는 확실한 방법은 26.4나 28.8 연결을 사용하는 다른 사람의 시스템에 당신의 모뎀을 연결해보거나 그 사람의 모뎀을 당신의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이다. 아마 당신은 전화선이 원인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전화선에서 당신이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은 구내 배선(MDF에서 모뎀까지의 구간)이다. 만약 당신이 26.4k 이상의 속도를 낼수 없으면 아래 사항을 시도하라.